따뜻한 이별의 정거장

가톨릭부산 2015.10.08 05:53 조회 수 : 172

호수 2094호 2011.02.27 
글쓴이 안윤문 베아드리체 

따뜻한 이별의 정거장

안윤문 베아드리체 / 부산성모병원 완화의료센터 팀장

삶의 마지막을 차분히 정리하고 새로운 세계로 떠나려는 이들이 잠시 머무는 이곳, 부산성모병원 10층 호스피스 병동. 사람이 태어나 살다 언젠가는 죽는 것이 평범한 진리임을 알면서도 사랑하는 가족을 보내고 이별을 맞이하는 이들의 슬픔 앞에서는 매번 숙연해지곤 한다. 그래도 사랑하는 이들이 함께 모여 차분히 마지막을 준비해 드리는 순간이, 떠나는 이나 보내는 이 모두에게 매우 중요하면서도 아름다운 시간임을 확인하게 된다.

후두암을 앓다가 임종실로 옮기게 된 요한 할아버지는 보통 하루에서 이틀이면 임종을 맞는 다른 환자들과 달리 5일간 생존해 계셨다. 그 5일 동안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 성가를 부르고 대화하는 소중한 기억들을 남긴 채 가족들의 모든 슬픔을 승화시켜주고 떠나갔다. 힘들지 않았냐고 묻는 말에 평소 가족 피정이 소원이었던 그들에게 할아버지가 가족 피정을 선물로 주었다고 가족들은 말한다.

말기 췌장암으로 병동에 머물렀던 타라시오씨는 임종 10일전 병원 로비에 평소 본인이 찍어둔 사진들로 사진전을 열었다. 그는 죽음을 목전에 두고 할 수 있는 가장 긍정적이고 활동적인 마지막 열정을 보여주며 가족을 비롯해 남겨진 모두에게 아름다운 삶의 에너지를 전해주고 떠나갔다.

이렇듯 호스피스 병동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가족적 돌봄이 함께 존재하는 곳이다. 호스피스의 선구자인 엘리사벳 퀴블러로스 박사는 “호스피스는 서로의 안녕을 빌 수 있는 시간이며, 분리된 관계를 치유할 수 있는 때이며, 서로 용서를 주고 받으며, 풀어진 삶을 단정히 모으는 때이므로 인간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몇 달, 몇 주 혹은 마지막 날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곳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이들은 얼마 남지 않은 시간 동안 이별을 준비한다. 서로 화해하고 삶의 마디마다 맺힌 매듭을 풀고 “사랑합니다”, “용서하세요”, “다시 만나요” 하며 껴안고 떠나보내게 하는 호스피스 병동! 이 따뜻한 이별의 정거장이 있기에 죽음이라는 낯설고도 긴 여정 앞에서 떠나는 이, 보내는 이들 모두 정녕 외롭지 않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11 2114호 2011.07.17  당신을 몰랐더라면... 정성희 마리안나  181
310 2366호 2016.01.24  “내게 가까이 오너라. 내 배움의 집에 묵어라.”(집회 51,23) 이동화 신부  179
309 1967호 2008.11.30  언어치료를 통한 주님 사랑의 실천! 언어치료실  179
308 2487호 2018.05.06  2018년 성가정 축복미사 가톨릭부산  175
307 2403호 2016.10.09  부산가톨릭선교마라톤회, 창립 10주년을 맞이 하면서 김봉출 로마노  175
» 2094호 2011.02.27  따뜻한 이별의 정거장 안윤문 베아드리체  172
305 2261호 2014.02.23  아버지의 망토 박정열 발다살  169
304 2446호 2017.08.06  행복한 신앙생활과 내적성화에 도움을 주는 영성심리상담사 과정을 들으면서... 장제원 엘리사벳  168
303 2426호 2017.03.19  삶의 길벗, 함께 하는 인문학, 제21기 인문고전대학 김영규 신부  167
302 1966호 2008.11.23  제20회 부산 가톨릭 문예 작품 공모전 발표 문인협회  167
301 2289호 2014.08.31  아빠의 자리, 남편의 자리 김인식 사도요한  164
300 2394호 2016.08.07  예비신학교 상반기 프로그램 독서감상문『하느님의 꿈쟁이 요셉』을 읽고 박현 빈첸시오  162
299 2314호 2015.02.08  새 사제 다짐·감사 인사 (2) 전산홍보국  160
298 2422호 2017.02.19  “문화화 되지 않은 신앙은 온전히 수용되지 못하고, 철저히 숙고되지 못하고, 충실히 실천되지 못한 신앙입니다.” 박종주 신부  156
297 2349호 2015.10.11  “찬미받으소서”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에 초대합니다. 교구 정의평화위원회  156
296 2120호 2011.08.21  빵 하나와 커피 한 잔을 넘어 임미화 에딧타  155
295 2107호 2011.05.29  '바다의 별' 해양사목 해양사목  155
294 1982호 2009.03.01  가톨릭센터를 아시지요 임석수 신부  155
293 2364호 2016.01.10  새 사제 다짐·감사 인사 가톨릭부산  153
292 2076호 2010.11.14  제22회 부산 가톨릭 문예 작품 공모전 입상자 주보편집실  15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