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53호 2017.09.24 
글쓴이 권순호 신부 

반모임에 가면 부담스럽습니다. 저는 신앙심이 깊지 않아서 성경을 읽어도 아무 생각이 안 나고, 말주변이 없어서 어떻게 말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다른 반원들은 기도면 기도, 나눔이면 나눔, 유창하게 잘도 합니다. 어떻게 하면 다른 반원들처럼 반모임에서 기도나 나눔을 잘 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어느 책에서 참된 나눔을 위한 4가지 원칙에 대해 읽은 적이 있습니다.“첫 번째, 나의 차례가 주어졌을 때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해야 한다. 참된 것과 진심 어린 것만을 나눈다. 둘째, 무엇보다 내가 말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듣는 훈련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침묵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나의 차례가 돌아왔을 때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을 훈련한다. 장황하게 설명하거나 변명하거나, 방어적이지 않게 간단하게‘예’할 것은‘예’하고‘아니요’할 것은‘아니요’하듯이 담백하게 말한다. 넷째, 머릿속으로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것을 미리 예행 연습하지 않는다. 그 때 그 때 마음 속에 주어지는 것을 정직하게 말한다. 세련되게 말하는 것보다 서툴지만 진실되게 말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잊지 않는다.”이는 사제인 저에게도 정말 필요한 충고이기도 합니다. 서당 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거의 15년 사제생활 동안 강론을 하다 보니 저의 말솜씨도 엄청 늘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듣기 보다는 내 말만 하려고 하고, 화려한 언변에 점점 진심이 없어지는 저의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화려한 말에 진심은 없고 물건을 팔려는 꿍꿍이만 있는 약장수를 닮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말을 잘 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되게 말을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하느님 말씀을 듣기 위해 먼저 침묵하기를, 화려한 말이 아니라 진심이 담긴 말로 기도하기를 가르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화려한 기도가 아니라 진심의 기도를 들어주십니다. 자신의 말을 잘하려고 하기 전에 먼저 들읍시다. 그리고 화려하지 않지만 소박하고 진실된 말로 기도하고 예수님의 삶을 나누도록 합시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 2428호 2017.04.02  호흡을 이용하는 불교의 참선(參禪) 기도 방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합니다. 교회가 가르치는 기도 방법보다 분심을 다스리고 평온한 마음을 얻는 데 더 적합한 듯합니다. 다른 종교의 기도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나쁜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193
15 2433호 2017.05.07  하느님께서는 왜 저에게는 은총을 베풀어 주시지 않으시나요? 다른 사람처럼, 자녀들이 성적이 좋기를, 남편 사업 잘되기를, 돈 많이 벌고, 건강하기를 기도하는데, 하느님께서는 저의 기도를 하나도 안 들어 주시는 듯합니다. 하느님은 참 불공평하신 듯합니다. 권순호 신부  478
14 2438호 2017.06.11  본당에서 자신의 의견만이 옳다고, 자신의 의견만을 강요하는 신부님들을 만나게 됩니다.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성향과 의견을 인정해주는 다원주의 사회에 이런 권위적인 신부님들은 많은 신자들을, 특히 젊은이들을 교회에서 멀어지게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362
13 2443호 2017.07.16.  성경을 읽어 보면, 예수님께서 천국을 아침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점심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저녁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다 똑같은 임금을 주시는 주인으로 묘사하던데요. 요즘에 정의롭지 못한 정치인들이 비판을 많이 받는데, 하느님 또한 이들과 무엇이 다릅니까? 권순호 신부  133
12 2448호 2017.08.20  천주교 신부님들의 신앙심은 잘 모르겠지만, 애국심에 있어서는 다른 종교 지도자들보다 못하는 것 같습니다. 국가와 민족이 있어야, 신앙도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한국 사람으로서 자긍심이 없이 어떻게 신앙인으로도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05
» 2453호 2017.09.24  반모임에 가면 부담스럽습니다. 저는 신앙심이 깊지 않아서 성경을 읽어도 아무 생각이 안 나고, 말주변이 없어서 어떻게 말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다른 반원들은 기도면 기도, 나눔이면 나눔, 유창하게 잘도 합니다. 어떻게 하면 다른 반원들처럼 반모임에서 기도나 나눔을 잘 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366
10 2458호 2017.10.29  아들 둘을 키우고 있는 어머니입니다. 큰아들은 공부도 잘하고 항상 제 말을 잘 듣는 반면 둘째는 공부도 못하고 항상 말썽만 부리고 반항만 합니다. 자연히 두 아들을 비교하게 되고, 큰아들에게 애정이 더 가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436
9 2463호 2017.12.03  고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입니다. 솔직히 자녀들을 주일학교에도 보내고 신앙 교육도 시키고 싶지만, 당장 대학입시가 더 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녀들이 좋은 대학에도 가고 좋은 직장도 얻고 삶의 안정과 여유가 있을 때, 신앙을 찾아도 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275
8 2470호 2018.01.07  성경에 보면, 하느님께 청하면 다 들어 주신다고 했는데, 저는 하느님께 아무리 청해도 원하는 것은 하나도 들어 주시지 않고 권순호 신부  160
7 2476호 2018.02.18  요즘에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화해 분위기가 한창 조성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신앙인으로서 자유 민주주의 국가인 우리나라가 무신론을 신봉하는 공산주의의 국가와 한 팀으로 경기하는 것은 반대입니다. 하느님은 당연히 한국 편이지, 북한 편은 아니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06
6 2482호 2018.04.01  예수님께서는 어린이처럼 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고, 철부지 어린이에게 하느님의 뜻을 드러낸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어린이는 그렇게 순수하지도 않으며, 오히려 분별력도 참을성도 없고 미성숙합니다. 그런 미성숙한 사람이 되어야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고 하느님 뜻을 안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190
5 2488호 2018.05.13  성경을 보면 예수님은 가장 작은 계명이라도 어기면 하늘나라에서 가장 작은 이가 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런 예수님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작은 계명에 집착하는 것은 좀생이의 마음이 아닐까요? 권순호 신부  111
4 2494호 2018.06.24  예수님께서 우리에게ㅤ매일ㅤ십자가를ㅤ져야ㅤ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십자가의ㅤ고통을ㅤ받아들이는 것은ㅤ무슨ㅤ의미인가요?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고통을 피하려고 하는데, 예수님의 말씀을 따른다면, 고통 자체를 즐기라는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159
3 2501호 2018.08.12  저는 항상 돈을 엄청 많이 벌기를 기도합니다. 이렇게 기도하는 것이 틀렸는가요? 돈이 많아야 남들에게 베풀 수도 있고 성당에 헌금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33
2 2513호 2018.11.04  어느 신문에서 외국의 가톨릭 성직자들이 아동 성추행 사건을 일으키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아마도 이런 문제들도 가톨릭 성직자들이 자연의 본성에 반해서 독신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제 성직자의 독신제에 다시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7
1 2519호 2018.12.16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미워하지 않기도 어려운데 사랑까지 하라니 힘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실천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25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