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피는 꽃

가톨릭부산 2017.09.20 10:35 조회 수 : 102

호수 2453호 2017.09.24 
글쓴이 우리농 본부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숨 막히는 아스팔트 거리를 거닐면서도 가끔 숨통을 트는 것은 어느 집 화단에 심어진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그리고 무엇보다 꽃 한 송이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흐드러지게 핀 꽃 한 송이에 단단히 굳어버린 마음이 풀리고, 악다구니를 쓰다가 부르르 떨며 움켜쥔 그 주먹을 펴게 됩니다.
  이처럼 자연은 단순히 조경업자가 건물을 돋보이기 위해 재료로 여기저기 갖다 꽂아놓은 장식품이 아닙니다. 이처럼 인간의 심미적 욕구를 채워주는 꽃 중 가장 많이 피는 꽃은 무슨 꽃일까요?
  그것은 다름 아닌 벼꽃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쌀수확량은 419만7000 톤이고, 그 재배면적은 77만873 헥타르였습니다. 쉽게 말해 부산 면적의 약 10배의 땅에 빠짐없이 벼를 심었다는 말입니다. 그러니 거기서 핀 벼꽃의 양이란 이루 말할 수 없이 많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벼꽃은 길어야 겨우 1시간만 피고 집니다. 그리고 이 벼꽃은 자신을 화려하게 꾸밀 꽃잎도 꽃받침대도 없습니다. 벌과 나비를 불러들일 꿀도 없습니다. 그저 나중에 왕겨가 되는 껍질 사이로 수술이 톡 튀어나와 그 안쪽에 숨겨진 암술에 바람에 흔들려 꽃가루를 얹어주고선 꽃은 집니다. 꽃 자신을 위해서는 아무것도 쓰지 않고 무더운 7월 말 8월 초에 그렇게 잠시 피었다 지면서 가능한 한 대부분 에너지를 열매에게 양보하는 이 벼꽃은 그래서 초라하지만 가장 고귀한 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게 쌀알 하나에 벼꽃 한 송이이니 우리는 하루 세 번 한 무더기의 꽃다발을 먹는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겁니다. 이즈음 그래서 우리 자신에게 한 번 물어봐야겠습니다. 과연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무엇이냐고 말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5 2383호 2016.05.22  아직도 먹고 사는 문제로 우리농 본부  42
44 2387호 2016.06.19  오래된 소명 우리농 본부  59
43 2392호 2016.07.24  더불어 생명 우리농 본부  76
42 2397호 2016.08.28  김영란법과 농민 우리농 본부  130
41 2401호 2016.09.25  호배추와 GMO 우리농 본부  194
40 2405호 2016.10.23  우리 삶의 징조 우리농 본부  42
39 2410호 2016.11.27  생명의 시작 우리농 본부  63
38 2414호 2016.12.25  성탄, 원활한 흐름 우리농 본부  88
37 2418호 2017.01.22  생명을 위한 안식 우리농 본부  33
36 2423호 2017.02.26  구별되지 않는 기쁨 우리농 본부  83
35 2427호 2017.03.26  안식 없는 사회 우리농 본부  37
34 2431호 2017.04.23  일석이조(一石二鳥) 유감 우리농 본부  22
33 2436호 2017.05.28  아무도, 아무것도 우리농 본부  51
32 2440호 2017.06.25  말이 안 되는 것이 말이 되는 세상 우리농 본부  75
31 2444호 2017.07.23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우리농 본부  56
30 2449호 2017.08.27  어디에나 모세의 떨기나무가! 우리농 본부  214
»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2
28 2457호 2017.10.22  자연에 대한 예의 우리농 본부  90
27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09
26 2466호 2017.12.24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향하여 우리농 본부  78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