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하늘나라입니까?”

가톨릭부산 2017.09.20 10:30 조회 수 : 172

호수 2453호 2017.09.24 
글쓴이 이장환 신부 

“이게 하늘나라입니까?”

이장환 신부 / 부산교구

  지난겨울, 많은 국민들이 수많은 광장과 거리에서 촛불을 들고“이게 나라냐!”고 외쳤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혹시 오늘 복음을 들으신 분들 중에, 뙤약볕 아래에서 온종일 고생한 이들과 겨우 한 시간만 일한 이들에게 같은 임금을 지불하는, 게다가 내가 가진 것을 내 마음대로 쓰겠다는 막말을 일삼는 밭 임자의 언행에‘이게 하늘나라냐?’하고 불평하시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하늘나라 비유의 주인공인 밭 임자는 자기 포도밭에서 일할 일꾼들을 찾아 나섭니다. 아침 일찍 만난 일꾼들에게 한 데나리온씩 주기로 하고 일을 줍니다. 자비로운 밭 임자는 그 이후에도 돌아다니다가 선택받지 못한 일꾼들을 발견하고는 정당한 삯을 주기로 하고 일을 줍니다.
  문제는 일을 마치고 품삯을 내줄 때 일어납니다. 아침부터 일한 이들도 한 데나리온을 받았고 늦게 와서 한 시간만 일한 이들도 정당한 삯으로 한 데나리온을 받습니다. 아침부터 고생한 일꾼들은 정당한 삯 이상의 대우를 기대했는지 밭 임자에게 투덜거립니다. 그들은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 것에 대해 항의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들은 박한 대우를 받았고, 다른 사람은 후한 대우를 받았다는 것에 대해 불평하는 것입니다. 한 데나리온, 또는 정당한 삯이란 천국을 의미합니다. 천국을 선물 받고 그것이 박한 대우라니요! 시기, 질투에 눈먼 그들은 천국 이상의 것, 있지도 않고 있을 수도 없는 어떤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늘나라는 나의 노동을 지불하고 그 대가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밭 임자가 나에게 호의를 베풀어 주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른 아침이든 오후 다섯 시든, 밭 임자가 일을 주었기 때문에 포도밭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즉 하늘나라는 내가 기도나 희생과 봉사를 했기 때문에 당연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런 나의 신앙생활이 올발랐음을 인정해주신 하느님의 은총으로 들어갈 수 있는 나라입니다. 그 자격은 내가 갖추어야 하지만 최종 결정권자는 하느님이십니다. 하늘나라에서‘너는 왜 있냐?’는 물음과‘그가 왜 없을까?’라는 물음은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인간의 잣대로 하는 이런 질문은 우리에게 어울리는 것이 아닙니다.
  모두에게 공정한 기회가 주어지는 나라, 세상의 기준과는 달라서 꼴찌가 첫째가 될 수도 있는 나라, 인간의 심보와는 다른 후한 주인을 만날 수 있는 나라, 이게 하늘나라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677호 2021. 11. 14  종말과 준비된 삶 file 이강우 신부 
2676호 2021. 11. 7  다른 이들보다 더 하는 삶, 믿음을 더하는 삶을 위하여 file 장용진 신부 
2675호 2021. 10. 31  너는 하느님의 나라에서 멀리 있지 않다 file 김태환 신부 
2674호 2021. 10. 24  정보혁명과 전교 주일 file 송현 신부 
2673호 2021.10.17  욕망과 자유 file 조영만 신부 
2672호 2021.10.10  환희의 신비 1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잉태하심을 묵상합시다. file 송제호 신부 
2671호 2021.10.03  문자로 기록된 규정과 보이지 않는 근본 정신 file 한윤식 신부 
2670호 2021.09.26  마실 물 한 잔 file 강지원 신부 
2669호 2021.09.19  신앙이 다시 불타오르기를 file 김형길 신부 
2668호 2021.09.12  “내 뒤에 서서 나를 따르라.” file 장민호 신부 
2667호 2021.09.05  에파타 file 김동환 신부 
2666호 2021.08.29  깨끗함과 더러움 file 전열 신부 
2665호 2021.08.22  영은 생명을 준다 file 원정학 신부 
2664호 2021.08.15  ‘육신의 부활’과 ‘영원한 삶’이라는 희망이 성모님에게서 구체적으로 드러남. file 신기현 신부 
2663호 2021.08.08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더 행복하다.” file 장훈철 신부 
2662호 2021.08.01  함께 만들어가는 생명의 빵 file 고원일 신부 
2661호 2021.07.25  감사하는 마음에 상처가 나더라도… file 박갑조 신부 
2660호 2021.07.18  “좀 쉬어라.” file 노우재 신부 
2659호 2021.07.11  ‘회개하라고 선포하여라.’ file 최재현 신부 
2658호 2021.07.04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file 최요섭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