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하늘나라입니까?”

가톨릭부산 2017.09.20 10:30 조회 수 : 172

호수 2453호 2017.09.24 
글쓴이 이장환 신부 

“이게 하늘나라입니까?”

이장환 신부 / 부산교구

  지난겨울, 많은 국민들이 수많은 광장과 거리에서 촛불을 들고“이게 나라냐!”고 외쳤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혹시 오늘 복음을 들으신 분들 중에, 뙤약볕 아래에서 온종일 고생한 이들과 겨우 한 시간만 일한 이들에게 같은 임금을 지불하는, 게다가 내가 가진 것을 내 마음대로 쓰겠다는 막말을 일삼는 밭 임자의 언행에‘이게 하늘나라냐?’하고 불평하시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하늘나라 비유의 주인공인 밭 임자는 자기 포도밭에서 일할 일꾼들을 찾아 나섭니다. 아침 일찍 만난 일꾼들에게 한 데나리온씩 주기로 하고 일을 줍니다. 자비로운 밭 임자는 그 이후에도 돌아다니다가 선택받지 못한 일꾼들을 발견하고는 정당한 삯을 주기로 하고 일을 줍니다.
  문제는 일을 마치고 품삯을 내줄 때 일어납니다. 아침부터 일한 이들도 한 데나리온을 받았고 늦게 와서 한 시간만 일한 이들도 정당한 삯으로 한 데나리온을 받습니다. 아침부터 고생한 일꾼들은 정당한 삯 이상의 대우를 기대했는지 밭 임자에게 투덜거립니다. 그들은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 것에 대해 항의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들은 박한 대우를 받았고, 다른 사람은 후한 대우를 받았다는 것에 대해 불평하는 것입니다. 한 데나리온, 또는 정당한 삯이란 천국을 의미합니다. 천국을 선물 받고 그것이 박한 대우라니요! 시기, 질투에 눈먼 그들은 천국 이상의 것, 있지도 않고 있을 수도 없는 어떤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늘나라는 나의 노동을 지불하고 그 대가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밭 임자가 나에게 호의를 베풀어 주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른 아침이든 오후 다섯 시든, 밭 임자가 일을 주었기 때문에 포도밭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즉 하늘나라는 내가 기도나 희생과 봉사를 했기 때문에 당연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런 나의 신앙생활이 올발랐음을 인정해주신 하느님의 은총으로 들어갈 수 있는 나라입니다. 그 자격은 내가 갖추어야 하지만 최종 결정권자는 하느님이십니다. 하늘나라에서‘너는 왜 있냐?’는 물음과‘그가 왜 없을까?’라는 물음은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인간의 잣대로 하는 이런 질문은 우리에게 어울리는 것이 아닙니다.
  모두에게 공정한 기회가 주어지는 나라, 세상의 기준과는 달라서 꼴찌가 첫째가 될 수도 있는 나라, 인간의 심보와는 다른 후한 주인을 만날 수 있는 나라, 이게 하늘나라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022호 2009.11.19  그리스도왕 대축일 김동환 신부 
2151호 2012.03.11  성전 정화 사건 김동환 신부 
2368호 2016.02.07  말씀을 따르는 베드로 김동환 신부 
2667호 2021.09.05  에파타 file 김동환 신부 
2042호 2010.03.28  이 사람은 정녕 의로운 분이셨다 김두완 신부 
2192호 2012.12.16  그러면 저희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 김두완 신부 
2341호 2015.08.16  미사 참례 이유 김두완 신부 
2562호 2019.09.29  예수님 사랑 깨닫기 file 김두완 신부 
2156호 2012.04.15  하느님의 선물 김두유 신부 
2374호 2016.03.20  하느님과 인간의 마음이 다름 김두유 신부 
2348호 2015.10.04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김두윤 신부 
2020년 1월 19일 연중 제2주일  하느님의 어린양 김두윤 신부 
2580호 2020.01.19  하느님의 어린양 file 김두윤 신부 
2761호 2023. 6. 1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빵이다. 누구든지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이다.”(요한 6,51) file 김두윤 신부 
2393호 2016.07.31  행복한 삶 김두진 신부 
2537호 2019.04.07  고백과 파견 file 김두진 신부 
2728호 2022. 10. 23  은총의 삶, 초대의 삶 file 김두진 신부 
2105호 2011.05.15  부르심과 응답 김명선 신부 
2260호 2014.02.16  율법, 그리스도인에게 걸림돌인가? 김명선 신부 
2458호 2017.10.29  가장 큰 계명은 무엇입니까? file 김명선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