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48호 2017.08.20 
글쓴이 권순호 신부 

천주교 신부님들의 신앙심은 잘 모르겠지만, 애국심에 있어서는 다른 종교 지도자들보다 못하는 것 같습니다. 국가와 민족이 있어야, 신앙도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한국 사람으로서 자긍심이 없이 어떻게 신앙인으로도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미국 유학 시절에 미국 친구에게 선물 받은 성조기가 달린 손목시계를 차고 교포 성당에 갔다가 한 할아버지에게서 성조기가 그러진 손목시계를 차고 나라 망신 다 시킨다며, 조국애에 대해 일장 연설을 들은 기억이 납니다. 우리의 기원은 정말 중요합니다. 내가 어디에서 왔는가는 내가 누구인가를 나타냅니다. 내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는 특히 다른 나라에 와 있을수록 절실해 집니다. 복음에서도 예수님께서 어디 출신인지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예수님의 갈릴레아라는 인간적인 출신만을 절대시 하며 구세주는 결코 갈릴레아 촌 동네에서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갈릴레아라는 눈에 보이는 곳을 넘어서 “근원”, 바로 하느님에게서 왔음을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의 하느님으로부터의 기원을 사람들은 받아들이지 않았기에 구세주를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이고 맙니다. 생명에 대한 모든 착취와 폭력은 바로 우리의 근원을 단지 인간적인 눈에 보이는 곳에서만 찾기 때문입니다. 모든 생명은 다 하느님에게서 옵니다. 나의 가족들, 나의 이웃들, 나의 친구들, 심지어 내가 미워하고 시기하고 멀리하는 적들도 다 하느님에게서 온 소중한 생명들입니다. 거리에 풀 한 포기, 벌레 하나, 공중에 새들도 모두 하느님에게서 온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결국 인종과 국적을 넘어 우리 모두를 하느님의 나라에 다시 모으시기 위해 다시 오실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6 2363호 2016.01.03  하루 중 문득 문득 나쁜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어떨 때는 그 생각이 하루를 지배할 때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생각들을 떠오르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15
235 2440호 2017.06.25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나를 비난한 사람 때문에 마음이 너무나 괴롭습니다. 제가 잘못한 것도 없고, 상처를 준 것도 없는데 저한테 왜 그랬을까요? 그렇다면 저는 어떻게 해야 이 마음이 풀릴까요? 홍성민 신부  214
234 2322호 2015.04.05  미사 전에 기도하려고 일찍 성당에 가면 시끄럽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을 보면 마음 속에 화가 치밀어 올라 미사 내내 분심이 듭니다. 식구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등 공중도덕을 지키지 않는 모습을 봐도 화가 납니다. 그런데 주위 사람들은 저의 이런 모습을 갑갑해 합니다. 제가 잘못된 걸까요? 권순호 신부  213
233 2172호 2012.08.05  성경에 보면 보지 않고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성당에 오면 십자가나 성물에 예수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왜 예수님의 말씀과 달리 성당에서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믿게 하려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213
232 2165호 2012.06.17  요즘 들어 부쩍 가족들이나 친구들에게 짜증을 냅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게 되고, 또 그렇게 화를 내고 나면 저 자신이 싫어집니다. 참으려고 노력도 하고, 또 결심도 해 보지만, 다시 그렇게 하는 제 모습에 화가 납니다. 홍성민 신부  212
231 2315호 2015.02.15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211
230 2340호 2015.08.09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장재봉 신부  210
229 2435호 2017.05.21  화를 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화가 납니다. 운전할 때, TV를 보다 마음에 안 드는 정치인이 나왔을 때, 제가 생각해도 지나치다 싶을 만큼 화가 납니다. 가끔은 제가 놀랄 정도의 말이나 행동을 합니다. 그리고 화를 내고 나면 마음이 불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209
228 2348호 2015.10.04  세상에는 나쁜 사람이 성공하고 착한 사람들이 고통을 겪는 일들이 많은데, 하느님께서는 왜 그냥 내버려두시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을 믿고 살면 구원을 받는다고 하지만, 죽은 후에 삶만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안에는 하느님의 힘에 의지할 수 없는 건가요? 홍성민 신부  207
» 2448호 2017.08.20  천주교 신부님들의 신앙심은 잘 모르겠지만, 애국심에 있어서는 다른 종교 지도자들보다 못하는 것 같습니다. 국가와 민족이 있어야, 신앙도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한국 사람으로서 자긍심이 없이 어떻게 신앙인으로도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205
226 2359호 2015.12.20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쉬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203
225 2236호 2013.09.22  성체를 모시면서 제가 깨끗하지 못한 것 같아 죄스럽고, 이게 모령성체면 어쩌나 하는 생각에 불안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매번 같은 내용으로 고해성사를 보는 것도 부담됩니다. 홍성민 신부  203
224 2499호 2018.07.29  미사나 기도할 때 손을 꼭 모아야 하나요? 홍경완 신부  202
223 2460호 2017.11.12  제가 아는 8살 아이가 불치의 병에 걸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어린아이가 무슨 죄가 있어 이런 고통을 겪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202
222 2301호 2014.11.23  그러지 말자고 하면서도 하느님의 존재를 자꾸 의심하게 됩니다. 의심하는 것이 죄라는 생각이 들어 괴롭기까지 합니다. 하느님을 의심하는 것이 정말 죄가 되나요? 홍경완 신부  202
221 2274호 2014.05.25  성경을 읽어보면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이할 것임을 알면서도 그 길을 걸어가셨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죽는 줄 뻔히 알면서 그 길을 피하지 않고 계속 가셨다면, 그것은 간접적인 자살행위가 아닙니까? 제가 알기로는 교회는 자살을 금지하고 있는데,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은 간접적 자살로 교회의 가르침과 상반되는 것이 아닙니까? 권순호 신부  202
220 2199호 2013.01.20  아들이 어릴 때는 주일학교에도 다니고 복사까지 하였는데, 대학 간 이후로는 신앙생활을 제대로 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결혼할 때는 관면혼배까지 다 시켰는데, 며느리도 신자가 아니다 보니 손자 손녀들은 유아세례도 받지 않은 상태입니다. 다 제 잘못인 것 같아서 마음이 아픕니다. 홍성민 신부  201
219 2480호 2018.03.18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 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장재봉 신부  199
218 2397호 2016.08.28  너무 많이 가지고 있다고 늘 반성하면서도 틈만 나면 더 가지고 싶어 합니다. 그럴수록 버리라는 성경 말씀은 더 무겁기만 합니다. 더 가지고자 하는 삶은 나쁜가요? 홍경완 신부  199
217 2361호 2015.12.27  본당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데,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좀 지친 것 같습니다. 활동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9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