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46호 2017.08.06 
글쓴이 차광준 신부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차광준 다윗 신부 / 이주노동사목 

  우리는 누군가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그 사람 인상이 어떻더라’라면서, 그 사람의 생김새 보다는 그 사람으로부터 느껴지는 분위기나 성품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다른 이유로 한 개인의‘인상(印象)’을 단정 짓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인종(人種)’이라는 이유입니다. 우리들은 외국인을 바라볼 때는 선입견, 편견의‘이미지’(image)로써 그 사람의‘인상’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듯 외국인에 대한‘특정화된 이미지’는 한 개인의‘인상’을 상실하게끔 합니다. 특별히 우리는 이주 노동자들을 만날 때, 이렇게‘특정화된 이미지’로써 그들을 판단하기 쉽습니다. 하지만‘특정화된 이미지’는 그들의‘인상’이 아닙니다. 이주 노동자들 또한 우리와 마찬가지로 한 명, 한 명 이름이 있고, 삶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주 노동자들을 바라볼 때, 개인의‘인상’보다는,‘특정화된 이미지’로써 그들의 본 모습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는 오류를 저지르기 쉽습니다. 
  우리는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 제자들 앞에서 거룩한 모습으로 변모하신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왜 제자들은 평소에는 예수님의 거룩한 모습을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예수님의 평소의 모습은 전혀 거룩한 모습이 아니셨던 것일까요? 그러다가 갑자기 이날, 이 상황에서 거룩해지신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이십니다.‘거룩함’그 자체이신 분이십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제자들은 예수님의 거룩한 모습을 평소에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그것은 제자들은 예수님에 대하여 자신들이 평소에 가지고 있던‘특정화 된 이미지’로써 예수님을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자신들이 생각하는‘스승’이라는 이미지,‘메시아’라는 이미지 등이 예수님의 본래의 거룩한 모습을 볼 수 없게 만들었던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참된 이유 보다는 자신들이 예수님께 기대하였던 이유들이 만들어낸‘특정화된 이미지’가 예수님의 참된‘인상’을 상실하게끔 하였던 것입니다. 
  오늘 복음을 묵상하면서 우리들은 예수님을 바라볼 때, 우리들이 만들어 낸‘이미지’보다는 본래 예수님께서 지니고 계셨던‘인상’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노력 안에서 우리의 형제들, 이웃들, 그리고 이주 노동자들을 바라볼 때, 제자들이 예수님의 거룩한 모습을 제대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처럼, 우리 또한 그들의 참된 모습을 제대로 발견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65호 2023. 7. 9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최순덕 세실리아 
2635호 2021.01.24  하느님 세상의 미래는 아이들! 최범진 헬레나 
2609호 2020.08.09  하느님의 바람 최고은 소피아 
2380호 2016.05.01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우리 성당 주일학교를 소개합니다 청소년사목국 
2390호 2016.07.10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부산교구 청소년사목국의 청년들 청소년사목국 
2653호 2021.05.30  지구 청소년·청년 위원회(지청위) file 청소년사목국 
2426호 2017.03.19  “의로움의 열매는 평화를 이루는 이들을 위하여 평화 속에서 심어집니다.”(야고 3, 18) 차광준 신부 
2446호 2017.08.06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차광준 신부 
2474호 2018.02.04  “다른 이웃 고을들을 찾아가자. 그곳에도 내가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마르 1,38) 차광준 신부 
2495호 2018.07.01  “불법체류자? 불법인 사람은 없습니다.” 차광준 신부 
2514호 2018.11.11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차광준 신부 
2345호 2015.09.13  낯선 곳에서 산다는 것 지은주 아델라 
2409호 2016.11.20  주님, 제가 여기 있습니다. 조원근 마르티노 
2509호 2018.10.07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조수선 안나 
2687호 2022. 1. 9  예수님 꽃 피우기 조수선 안나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298호 2014.11.02  정체성 찾기 조삼제 F.하비에르 
2719호 2022. 8. 21  “누가 우리의 이웃일까요?” 조광우 신부 
2762호 2023. 6. 18  친교의 길 조광우 신부 
2442호 2017.07.09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정효모 베드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