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44호 2017.07.23 
글쓴이 염철호 신부 

개신교에서는 하느님의 이름이 여호와라고 그러고 가톨릭은 야훼라고 그러는데 왜 그런가요?'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구약성경의 히브리어는 본래 자음만으로 적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커피’를 표기할 때‘ㅋㅍ’라고만 표기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읽기가 많이 불편할 것 같지만 익숙해지면 그리 어렵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구약성경 전체가 이런 식으로 적혀 있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서 후손들이 점점 읽어내기가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기원후 7∼8세기경부터 읽기에 도움을 주기 위해 모음을 만들어 붙이기 시작했는데, 이때 주님의 이름이 나오는 대목에 어떤 모음을 붙여할 지 문제가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히브리인들은 성경을 읽을 때 주님의 이름이 나오면 주님의 이름을 발음하지 않기 위해 그냥‘하셈’(그 이름) 혹은‘아도나이’(나의 주님)라고 읽었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라는 계명 때문인데, 오늘날 가톨릭교회도 성경에서 주님의 이름이 나오는 대목은“주님”이라고 진한 고딕체로 표기합니다. 히브리인들도 주님의 이름에‘아도나이’의 모음을 붙이기로 결정했고, 그렇게 생겨난 표기가 YeHoWaH입니다(이것은 히브리어 모음규칙이 적용된 표기입니다). 이 점을 알지 못하던 후대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이 주님의 이름을 표기된 그대로‘여호와’라고 읽었습니다. 하지만 성서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주님의 이름이‘야훼’였을 것으로 추정하게 되었고, 오늘날 성서학자들은 가톨릭이든 개신교든 대부분 이를 정설로 받아들입니다. 주님의 이름인‘야훼’의 축약형은‘야’이며, 엘리야, 이사야, 예레미야, 즈카르야 등에서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96 2409호 2016.11.20  겸손하라는 성경 말씀이 있습니다.(1베드 5, 5 참조) 어느 정도 겸손해야 하나요? 요즘은 자기 표현(PR)시대인데 교만하지만 않으면 되지 않나요? 염철호 신부  318
95 2414호 2016.12.25  성경의 가르침과 현실 사이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분간이 잘 가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121
94 2419호 2017.01.29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용서는 무조건적인 용서를 말하나요? 불의는 당연히 발고(發告)하고 벌을 받는 것이 맞는데 용서를 해야 한다니 현실적이지 못한 것이 아닌지요? 염철호 신부  191
93 2424호 2017.03.05  왜 하느님은 카인과 아벨 가운데 아벨의 제물만 굽어보시는 건가요? 하느님은 사람을 차별하는 분이신가요? 염철호 신부  316
92 2429호 2017.04.09  하느님은 인간을 당신 모습에 따라 창조하셨다고 말하면서(창세 1, 27 참조), 왜 당신처럼 완전무결하게 만들지 않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염철호 신부  140
91 2434호 2017.05.14  창세기에서 야곱은 어머니 레베카의 계략에 따라 형 에사우의 복을 가로챕니다. (창세 27, 1∼40 참조) 인간적 술수로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챌 수 있는 것인가요? 염철호 신부  277
90 2439호 2017.06.18  레지오 중 묵주기도를 하는데, 기도문을 바꾸어도 괜찮다고 해서 기도문 중“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를“가시관 쓰신 예수님은 복되시나이다.”혹은“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은 복되시나이다.”등으로 바꿔 기도합니다. 괜찮을까요? 염철호 신부  189
» 2444호 2017.07.23  개신교에서는 하느님의 이름이 여호와라고 그러고 가톨릭은 야훼라고 그러는데 왜 그런가요?' 염철호 신부  179
88 2449호 2017.08.27  마리아와 마르타 이야기(루카 10, 38∼42)에서 말씀만 듣는 마리아가 열심히 시중드는 마르타보다 더 좋은 몫을 택했다는 예수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349
87 2454호 2017.10.01  욥기를 읽다 보면 친구들이 하는 말이 얄밉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하느님은 왜 욥의 친구들을 야단치실까요? 염철호 신부  141
86 2459호 2017.11.05  주님의 기도에“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라는 대목이 나옵니다. 다른 사람을 용서하지 않으면 나도 용서받지 못하는 걸까요? 염철호 신부  198
85 2464호 2017.12.10  무거운 고통이 주어질 때 욥처럼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하며 참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현실적이지 못한 말씀인 듯합니다. 참으면 복이 온다는 식의 이야기는 아니겠지요? 염철호 신부  169
84 2471호 2018.01.14  로마서 10장 10절을 보면 “마음으로 믿어 의로움을 얻고, 입으로 고백하여 구원을 얻습니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우리가 행하는 실천은 구원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265
83 2477호 2018.02.25  요나 4장 1절에서 예언자 요나는 니네베 사람들이 회개하여 하느님께서 재앙을 거두시자 매우 언짢아 화를 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119
82 2483호 2018.04.08  마지막 날 부활 때 헤어진 가족들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부모님께서 아프실 때 해드리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습니다. 다시 만나면 꼭 해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요. 염철호 신부  305
81 2489호 2018.05.20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직접 주님 스스로를 칭하시며“우리”라는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이 구절을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한 주님의 계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염철호 신부  113
80 2495호 2018.07.01  창세 18,2에 아브라함을 찾아온 세 분의 천사가 하느님으로 밝혀지는데, 주님께서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습으로 찾아오신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염철호 신부  161
79 2502호 2018.08.19  여러 책에서 아마겟돈에서 인류 최후의 전쟁이 벌어진다고들 말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염철호 신부  108
78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6
77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