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가톨릭부산 2017.07.05 09:58 조회 수 : 141

호수 2442호 2017.07.09 
글쓴이 최성철 신부 

감사합니다

최성철 신부 / 성안성당 주임

  세상을 살다 보면 참으로 감사할 일이 많습니다. 부모님의 사랑이나 형제들의 우애, 이웃의 도움 등등,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많습니다. 이때에 우리는 고마운 마음을 담아서“감사합니다.”라고 표현합니다.
  예수님께서도 감사하는 마음을 드러내십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 아버지께서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보다 철부지들을 선택하셨음을 감사드립니다. 터무니없는 자만심으로 가득 찬 사람들보다 마음을 열고 받아들이는 철부지들에게 당신을 드러내시는 것에 대하여 감사드리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많은 기적을 일으키시는 것을 요한의 제자들이 보고 그분의 힘을 믿게 된 바로 다음에 감사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지혜롭다거나 슬기롭다는 표현을 유다인들에게 쓰신 것은 그들이 참으로 그러했다고 보기보다는 그들이 말재간이 뛰어나고 순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도들은 죄와 사악함에 물들지 않아서 철부지라고 표현하십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어린이와 같이 하느님의 나라를 받아들이지 않는 자는 결코 그곳에 들어가지 못한다.”(마르 10, 15)
  하느님과 하느님 나라에 대해서도, 예수님과 예수님의 사명, 당신의 삶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로 받아들이는 사람에게는 당신께서도 같이 열어주십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됩니다. 겸손하게 듣는 사람 주변에는 항상 사람들이 있습니다.
  달구지나 쟁기를 끌 때 마소의 목에 가로 얹는 구부정한 나무가 멍에입니다. 이 멍에는 일을 할 때만 쓰는 것입니다. 사람의 마음이나 행동에 있어서 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구속이나 억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는 예수님의 말씀이 언제 나에게 받아들여지겠습니까? 지금 나에게 당면한 고통, 수고로움, 이런 것들을 하느님 안에서 성숙한 신앙으로 녹여낼 때 비로소 가능할 것입니다.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는 말씀은 그 짐을 피하라는 말씀이라기보다는 자기 몫으로 잘 받아들이라는 말씀으로 들어야 하겠습니다.“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루카 9, 23)
호수 제목 글쓴이
2015호 2009.10.01  교회의 참다운 기초 강병규 신부 
2091호 2011.02.06  하느님 보시기에 좋은 강병규 신부 
2288호 2014.08.24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강병규 신부 
2492호 2018.06.10  하느님의 사랑으로 file 강병규 신부 
2655호 2021.06.13  작은 겨자씨에서 자라난 신앙 공동체 file 강병규 신부 
2024호 2009.12.03  인권과 정의 강영돈 신부 
2172호 2012.08.05  생명의 빵 강영돈 신부 
2313호 2015.02.01  치유, 하느님의 선물 강우현 신부 
2525호 2019.01.13  “새로운 삶의 시작, 세례” file 강우현 신부 
2714호 2022. 7. 17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루카 10,41) file 강우현 신부 
2554호 2019.08.04  나눗셈(÷)과 나누기 file 강인구 신부 
2738호 2023. 1. 1  “응, 엄마~” file 강인구 신부 
2312호 2015.01.25  참으로 회개하지 않고서는 강정웅 신부 
2524호 2019.1.6  동방박사들처럼 예수님만을 바라보며 file 강정웅 신부 
2713호 2022. 7. 10  그렇게 하여라 file 강정웅 신부 
2072호 2010.10.17  빼앗기지 말아야 할 것, 기도 강종석 신부 
2221호 2013.06.23  평범하면서도 위대한 사람들 강종석 신부 
2426호 2017.03.19  사마리아 여인의 믿음 file 강종석 신부 
2589호 2020.03.22  믿음의 논리, 불신의 논리 file 강종석 신부 
2770호 2023. 8. 13  한시도 나에게서 눈을 떼지 않으시는 그분 file 강종석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