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98호 2013.01.13 
글쓴이 권순호 신부 

하느님은 어디에도 다 계시고 모든 것을 다 보신다고 하시는데, 하느님이 저를 항상 지켜보신다고 생각하니 조금 섬뜩합니다. 하느님은 스토커도 아니고, 조금 특이한 취미를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남산성당 부주임) albkw93@hotmail.com

우리가 밤길은 혼자 걷고 있다고 합시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귀신이나 강도가 내 등 뒤에서 몰래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등골이 오싹해집니다. 귀신이나 강도 같이 우리를 해치려는 사람이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우리는 두려움에 휩싸이게 됩니다. 반면, 우리를 사랑하고 도와주려는 분이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우리는 안도와 평화에 휩싸이게 됩니다. 예수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참새 다섯 마리가 두 닢에 팔리지 않느냐? 그러나 그 가운데 한 마리도 하느님께서 잊지 않으신다. 더구나 하느님께서는 너희의 머리카락까지 다 세어 두셨다. 두려워하지 마라. 너희는 수많은 참새보다 더 귀하다.”(루카 12, 6∼7) 하느님은 현미경을 가지고 우리 잘못을 다 밝혀내려는 심판자나, 우리의 사생활을 몰래 훔쳐보며 자신의 호기심이나 욕망을 만족시키는 스토커도 아닙니다. 그분은 사랑의 눈길로 우리의 작고 하찮은 부분까지 속속히 헤아리시고 돌보시는 분이십니다. 그래서 어디에 가든, 폭풍 속에 갇히든, 어둔 밤길을 걷든 우리는 두렵지 않은 것입니다. 저의 답변을 어느 복음 성가의 가사를 인용하며 마치려고 합니다. ‘내가 밤길을 가고 있을 때 누군가 등불 밝혀 주는 이 있음을 생각하니 내 맘에 한빛이 가득 차, 주님의 사랑을 노래하네. 예수, 내 기쁨! 예수, 내 평화! 날 위해 등불 밝히는! 예수, 내 희망. 예수, 내 생명, 작은 나의 기쁨’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16 2251호 2013.12.29  쉬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근데 막상 시간이 주어져도 어떻게 쉬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신자로서의 올바른 쉼이란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92
315 2201호 2013.02.03  하느님의 의로움과 자비로움은 상반되는 것이 아닌가요? 정의로우신 하느님과 자비로우신 하느님이 어떻게 같은 하느님일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93
314 2342호 2015.08.23  카인은 하느님이 저주를 내리자“제가 세상에서 쫓겨나면 세상을 떠돌며 헤매는 신세가 되어, 만나는 자마다 저를 죽이려 할 것입니다.”(창세 4, 14 참조) 라고 말합니다. 아담과 하와 밖에 없던 시절 카인을 죽이려던 자들은 누구였을까요? 염철호 신부  93
313 2503호 2018년 8월 26일  저는 지금 어떤 직업을 선택해서 앞으로 살아야 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직업을 두고 고민하다 보면, 그 직업이 사회적으로 악용되는 부분이나, 비윤리적인 부분이 보여서 고민입니다.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아가기 위해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홍성민 신부  95
312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5
311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5
310 2022호 2009.11.22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 장재봉 신부  95
309 2253호 2014.01.05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등의 통신 수단이 발달하면서 신앙생활에도 많은 편리함을 줍니다. 요즘처럼 바쁜 사회에서 굳이 성당에 가지 않고 인터넷이나 전화로 고해성사를 받거나, 텔레비전으로도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참 좋을 듯합니다. 권순호 신부  96
308 2450호 2017.09.03  요즘 일에 대한 스트레스가 점점 더 커집니다. 그런데 일을 내려놓고 쉬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어떤 일은 꼭 지금 당장 해야 하는 일도 아닌데, 이상하게도 그 일을 놓기가 힘이 들고, 불안한 기분이 들 때도 있습니다. 홍성민 신부  96
307 2209호 2013.03.31  교회가 가르치는 계명을 잘 지키고 싶은데, 살다 보면 핑계도 많이 생기고 잘 지키지 못합니다. 계명을 더욱 충실히 지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없을까요? 홍경완 신부  97
306 2276호 2014.06.08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97
305 2518호 2018.12.09  무슨 일이든지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 차 있습니다. 놀면 죄 짓는 것 같고, 그냥 아무 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괜히 두렵기도 합니다. 홍경완 신부  97
304 2187호 2012.11.11  도발적으로 물어봅니다. 이웃은 왜 사랑해야 하는 겁니까? ‘영원한 벌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며 미래로 떠넘기는 대답은 싫습니다. 홍경완 신부  98
303 2244호 2013.11.17  평일 미사에 자주 참여하는 편이지만, 경제적 사정이 좋지 않아 미사예물은 봉헌하지 못하고, 마음속으로만 기도합니다. 그런데 자신이 원하는 지향으로 미사 예물을 봉헌한 사람과 예물을 봉헌하지 않고 마음속으로 지향을 기도한 사람과는 미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은총이 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불안합니다. 홍성민 신부  99
302 2504호 2018.09.02  어릴 적 성당을 잘 다니던 아들이 커서는 신을 믿지 않겠다고 합니다. 임성근 신부  99
301 2233호 2013.09.08  “창세기 첫 부분이 설화에 불과하다면 인간의 탄생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지인의 질문에 답이 막혀버렸습니다. 홍경완 신부  100
300 2264호 2014.03.16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대답을 못 했습니다.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100
299 2181호 2012.09.30  요즘 힘들어하는 저에게, 사람들은 기도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열심히 기도해도 제가 원하는 바가 이뤄진 경험은 없습니다. 기도하면 정말 들어주시나요? 홍성민 신부  101
298 2213호 2013.04.28  신자로서 지켜야 하는 많은 규정과 규범들이 무거운 짐으로 다가옵니다. 그러다 보니 형식적으로 지키는 데에 머무르거나, 그냥 외면할 때가 많습니다. 홍경완 신부  101
297 2217호 2013.05.26  바쁜 도시생활에 몸도 마음도 지쳐갑니다. 쉬고 싶은 마음도 큰데, 그러면 뒤처져질까 두려움이 생겨 그러지도 못하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0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