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82호 2012.10.07 
글쓴이 장재봉 신부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활천성당 주임) gajbong@hanmail.net

“참 별일”입니다. 한 발 물러, 그 사정을 헤아려 봅니다. ‘열에 아홉’은 ‘열린 조배실’에서 ‘사고’가 있었기에 내려진 조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한편 ‘백에 한둘’은 더 ‘숭고하고 엄숙한’ 조배실을 꾸미기 위한 욕심에서 내린 결정일 수도 있겠다 싶어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들락대는’ 비회원들의 산만한 모습이 훼방꾼 같아서 취한 ‘거룩함’을 빙자한 결단이 아니길 빌어 봅니다.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조배실에서 ‘오직’ 회원만을 배알하고 계신 주님 마음을 생각해 보셨는지 묻겠습니다. 그분께서 단지 ‘회원’에게 특혜를 주고 만족시키기 위해서 스물네 시간을, 꼬박... 조배실에서 ‘성체’로 머물러 봉사하시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따지겠습니다. 성체를 대하는 마음이 이리 옹졸하니, 예수님이 얼마나 슬프실지요. 주님의 몸을 모신 조배실에서까지 누구를 차별하고 누군가를 소외시키며 출입을 금하다니... 어이가 없습니다. 물론 ‘성전의 감실 앞’에서 성체조배를 드리는 것은 백번 무방하고 타당한 믿음의 행위입니다. ‘조배실’과 동격의 성체조배 기도가 가능하니 섭섭한 마음을 거두고 더 성체를 공경해 드리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분을 ‘조배실’ 안에 가두고 계신 분들, 어서 문을 활짝 열어주세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 2183호 2012.10.14  ‘성당 다니는 사람이 어쩌면 그럴 수 있니?’라며 실망하는 말을 주변에서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38
»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5
34 2181호 2012.09.30  요즘 힘들어하는 저에게, 사람들은 기도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열심히 기도해도 제가 원하는 바가 이뤄진 경험은 없습니다. 기도하면 정말 들어주시나요? 홍성민 신부  101
33 2180호 2012.09.23  우리는 구원을 어떻게 얻을 수 있습니까? 좋은 일을 많이 하면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까? 그런데 구원은 하느님의 선물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럼 착한 일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소용이 없는가요? 권순호 신부  153
32 2179호 2012.09.16  동료로부터 가톨릭은 미사 전례를 비롯한 모든 기도가 지나치게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아 대꾸조차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64
31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37
30 2177호 2012.09.02  손녀가 생후 22개월째에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그후 매일 위령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사람들이 어린이들은 하늘나라에서 천사가 되어 있을 건데 위령기도를 바친다는 것이 좀 그렇다고 합니다. 위령기도를 계속해서 바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홍성민 신부  238
29 2176호 2012.08.26  대부분의 사람은 하느님이 보시기에 죄인이기 때문에 죽으면 연옥에서 벌을 받고 난 후에야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하느님이 자비로운 분이시라면 우리를 굳이 무서운 연옥 벌을 받게 하지 않고 바로 천국으로 보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1
28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0
27 2173호 2012.08.12  제 친구가 성당에서 같은 신자들에게 상처를 받아서 더는 신자생활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친구의 마음을 돌리고 싶은데, 뭐라고 말해 주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175
26 2172호 2012.08.05  성경에 보면 보지 않고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성당에 오면 십자가나 성물에 예수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왜 예수님의 말씀과 달리 성당에서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면서 믿게 하려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권순호 신부  213
25 2171호 2012.07.29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51
24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9
23 2169호 2012.07.15  고해성사를 본지 너무 오래되었는데, 막상 보려니 부끄러워 고해소에 들어가지 못하겠습니다. 어떡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69
22 2168호 2012.07.08  저는 화가 치밀면 주체할 수 없어, 주위 사람들이 피해를 주게 되고, 나중에 후회하곤 합니다. 저의 분노를 다스릴 방법은 없을까요? 권순호 신부  155
21 2167호 2012.07.01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사후피임약처럼 논란이 되는 사회문제나, 교육과 관련된 문제에서 가치관이란 말이 자주 언급됨을 봅니다. 그렇다면 그리스도교의 가치관이 여타의 가치관과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82
20 2166호 2012.06.24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 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44
19 2165호 2012.06.17  요즘 들어 부쩍 가족들이나 친구들에게 짜증을 냅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게 되고, 또 그렇게 화를 내고 나면 저 자신이 싫어집니다. 참으려고 노력도 하고, 또 결심도 해 보지만, 다시 그렇게 하는 제 모습에 화가 납니다. 홍성민 신부  212
18 2164호 2012.06.10  인간을 사랑하시는 하느님께서 왜 사람들에게 특히 무죄한 사람들에게 고통을 허락하시는가요? 권순호 신부  134
17 2163호 2012.06.03  지금 내가 추구하고 있는 삶의 방향이 옳은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옳은 길로 가고 있다는 확신을 어떻게 가질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14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