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82호 2012.10.07 
글쓴이 장재봉 신부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활천성당 주임) gajbong@hanmail.net

“참 별일”입니다. 한 발 물러, 그 사정을 헤아려 봅니다. ‘열에 아홉’은 ‘열린 조배실’에서 ‘사고’가 있었기에 내려진 조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한편 ‘백에 한둘’은 더 ‘숭고하고 엄숙한’ 조배실을 꾸미기 위한 욕심에서 내린 결정일 수도 있겠다 싶어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들락대는’ 비회원들의 산만한 모습이 훼방꾼 같아서 취한 ‘거룩함’을 빙자한 결단이 아니길 빌어 봅니다.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조배실에서 ‘오직’ 회원만을 배알하고 계신 주님 마음을 생각해 보셨는지 묻겠습니다. 그분께서 단지 ‘회원’에게 특혜를 주고 만족시키기 위해서 스물네 시간을, 꼬박... 조배실에서 ‘성체’로 머물러 봉사하시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따지겠습니다. 성체를 대하는 마음이 이리 옹졸하니, 예수님이 얼마나 슬프실지요. 주님의 몸을 모신 조배실에서까지 누구를 차별하고 누군가를 소외시키며 출입을 금하다니... 어이가 없습니다. 물론 ‘성전의 감실 앞’에서 성체조배를 드리는 것은 백번 무방하고 타당한 믿음의 행위입니다. ‘조배실’과 동격의 성체조배 기도가 가능하니 섭섭한 마음을 거두고 더 성체를 공경해 드리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분을 ‘조배실’ 안에 가두고 계신 분들, 어서 문을 활짝 열어주세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16 2349호 2015.10.11  그 뜻이‘크게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580
215 2228호 2013.08.11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514
214 2232호 2013.09.01  세례 대부님과는 연락이 없습니다.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하라는데, 그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장재봉 신부  340
213 2237호 2013.09.29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246
212 2241호 2013.10.27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 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장재봉 신부  143
211 2245호 2013.11.24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 합니까? 장재봉 신부  117
210 2249호 2013.12.22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장재봉 신부  149
209 2255호 2014.01.19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고요. 자녀와 종, 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장재봉 신부  175
208 2260호 2014.02.16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 합니까? 장재봉 신부  297
207 2264호 2014.03.16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대답을 못 했습니다.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100
206 2268호 2014.04.13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 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 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 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장재봉 신부  174
205 2272호 2014.05.11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62
204 2276호 2014.06.08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98
203 2280호 2014.07.06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장재봉 신부  185
202 2284호 2014.08.03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 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72
201 2288호 2014.08.24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 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장재봉 신부  145
200 2292호 2014.09.21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장재봉 신부  122
199 2296호 2014.10.19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62
198 2300호 2014.11.16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장재봉 신부  111
197 2304호 2014.12.14  타 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 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8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