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82호 2012.10.07 
글쓴이 장재봉 신부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활천성당 주임) gajbong@hanmail.net

“참 별일”입니다. 한 발 물러, 그 사정을 헤아려 봅니다. ‘열에 아홉’은 ‘열린 조배실’에서 ‘사고’가 있었기에 내려진 조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한편 ‘백에 한둘’은 더 ‘숭고하고 엄숙한’ 조배실을 꾸미기 위한 욕심에서 내린 결정일 수도 있겠다 싶어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들락대는’ 비회원들의 산만한 모습이 훼방꾼 같아서 취한 ‘거룩함’을 빙자한 결단이 아니길 빌어 봅니다.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조배실에서 ‘오직’ 회원만을 배알하고 계신 주님 마음을 생각해 보셨는지 묻겠습니다. 그분께서 단지 ‘회원’에게 특혜를 주고 만족시키기 위해서 스물네 시간을, 꼬박... 조배실에서 ‘성체’로 머물러 봉사하시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따지겠습니다. 성체를 대하는 마음이 이리 옹졸하니, 예수님이 얼마나 슬프실지요. 주님의 몸을 모신 조배실에서까지 누구를 차별하고 누군가를 소외시키며 출입을 금하다니... 어이가 없습니다. 물론 ‘성전의 감실 앞’에서 성체조배를 드리는 것은 백번 무방하고 타당한 믿음의 행위입니다. ‘조배실’과 동격의 성체조배 기도가 가능하니 섭섭한 마음을 거두고 더 성체를 공경해 드리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분을 ‘조배실’ 안에 가두고 계신 분들, 어서 문을 활짝 열어주세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16 2247호 2013.12.08  요즘에 남편의 사업이 잘 되지 않아서 많이 힘듭니다. 남편 이름으로 미사를 봉헌하거나 남편에게 팔찌 묵주를 차게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44
215 2378호 2016.04.17  사람들은 점점 종교에 관심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교회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선교를 할 때 SNS이나 인터넷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그것이 좀 더 빠른 시간에 좀 더 효과적으로 좀 더 다각적으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수 있지 않을까요? 청소년들을 성당에 오게 하기 위해 인터넷 게임을 교리에 이용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4
214 2288호 2014.08.24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 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장재봉 신부  145
213 2190호 2012.12.02  29세 여자입니다. 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 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 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 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장재봉 신부  146
212 2254호 2014.01.12  주일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저는 주일에 일도 하고, 공부도 해야 합니다. 물론 미사에는 빠지지 않고 참례하지만, 그 외의 시간에는 다른 요일과 별다르지 않습니다. 개신교 신자인 제 친구는 주일 하루를 온전히 교회와 신앙생활에만 열중한다고 합니다. 저도 그렇게 해야 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홍성민 신부  146
211 2305호 2014.12.21  좀 더 가지고 싶고 채우고 싶은 욕심이 자꾸 생깁니다. 남들과 비교하게 되고, 내가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허전한데, 그게 신앙인의 자세는 아닌 듯싶어 맘이 편치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146
210 2387호 2016.06.19  세상은 여전히 정의보다는 불의가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고, 조금 더 이기적으로 약삭빠르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처럼 보입니다. 눈앞에 펼쳐진 것을 넘어서는 희망을 어디서 발견할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147
209 2316호 2015.02.22  십일조와 관련해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교무금과 2차 헌금을 포함한 주일헌금, 불우이웃돕기 성금과 몇몇 단체에 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액을 합하면 수입의 10분의 1 정도 됩니다. 하지만 어떤 이는 교무금만 10분의 1을 바쳐야 한다고 말을 하기에, 제가 십일조를 잘못하고 있지 않은가 하고 생각되어 여쭙니다. 홍경완 신부  148
208 2163호 2012.06.03  지금 내가 추구하고 있는 삶의 방향이 옳은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옳은 길로 가고 있다는 확신을 어떻게 가질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149
207 2249호 2013.12.22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장재봉 신부  149
206 2462호 2017.11.26  위령성월의 보다 깊은 의미를 묻고 싶습니다. 단순히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하는 시간은 아닌 것 같기 때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149
205 2210호 2013.04.07  사도신경에 보면 ‘육신의 부활을 믿는다’고 나와 있습니다. 육체는 죄의 근원이며 영혼만이 참되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육신은 없어지고 영혼만이 영원히 산다고 하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는가요? 권순호 신부  150
204 2413호 2016.12.18  예수님께서는 재산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족까지도 버리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한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사제나 수도자가 되지 않은 이상 일반 신자가 이 말씀을 따르기는 불가능한 듯합니다.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요? 권순호 신부  151
203 2452호 2017.09.17  지나치게 현실적인 문제만 고민하다가, 꼭 이렇게 살아야 하나 싶어 슬퍼졌습니다. 이 슬픔의 원인이 무엇인지도 모르겠고, 그렇다고 현실을 무시하지도 못하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51
202 2407호 2016.11.6  이해하지 못하면 잘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신앙생활도 그래서 힘이 들 때가 많습니다. 저를 좀 이해시켜 주십시오. 홍경완 신부  152
201 2475호 2018.02.11  오늘도 근근이 살아가고 있는데, 미래는 더욱 캄캄해서 불안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조차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52
200 2155호 2012.04.08  사회가 물질적 풍요에 취하면서 종교는 점점 더 세력을 상실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얼핏 보기엔 물질적 풍요와 종교가 서로 반비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사실일까요? 홍경완 신부  153
199 2180호 2012.09.23  우리는 구원을 어떻게 얻을 수 있습니까? 좋은 일을 많이 하면 구원을 얻을 수 있습니까? 그런데 구원은 하느님의 선물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럼 착한 일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소용이 없는가요? 권순호 신부  153
198 2212호 2013.04.21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장재봉 신부  153
197 2295호 2014.10.12  아내가 SNS에 너무 많이 집착합니다. 솔직히 저는 저의 일상이 공개되는 것이 유쾌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반응에는 신경을 쓰면서 정작 남편인 저에게는 소홀한 아내에게 섭섭함도 느낍니다. 홍성민 신부  15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