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본래 모습을 찾아서

가톨릭부산 2015.10.07 05:57 조회 수 : 60

호수 1983호 2009.03.08 
글쓴이 정필종 신부 

오늘 복음은 ‘예수님의 영광스러운 변모’라 불리는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예수님과 제자들은 ‘높은 산’(마르 9, 2)에 올라가 있습니다. 높은 산은 하느님께서 당신을 보여주시는 곳이자 하느님을 만나는 장소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모세, 엘리야와 함께 있습니다. 이는 초기 교회가 예수님의 모습을 통해서 에서 모세와 엘리야를 보았다는 말입니다.

모세는 하느님께서 우리와 늘 함께 걸어가시며 우리를 돌보시는 분임을 깨달은 분입니다. 또한 그런 하느님과 더불어 사는 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치신 분입니다. 엘리야는 이스라엘 역사 안에 나타났던 예언자들의 대표격입니다. 예언자들은 이스라엘이 모세가 가르친 하느님을 잊어버리고 다른 길로 들어섰을 때, 그 잘못된 길을 버리고 함께 계시는 하느님에게로 돌아올 것을 부르짖은 분들입니다.

오늘 예수님은 모세가 저 옛날 이스라엘 백성에게 했듯이, 하느님과 함께 걸어가는 길을, 하느님과 더불어 살아가는 새로운 가르침을 보여주시는 분으로 등장하십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을 아버지라 부르면서 그분의 생명을 살아서 하느님의 나라가 우리의 삶 안에 이루어지도록 살라고 가르치셨습니다. 하느님의 생명은 ‘자비와 사랑’입니다. 생명은 물 흐르듯 자연스레 다른 곳으로 흘러갑니다.

그리스도 신앙인은 예수님이 하신 기적에 놀란 사람이 아닙니다. 그 기적을 보고 따르는 사람이 아닙니다. 신앙인은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이런 실천을 통해 하느님을 세상에 드러내는 사람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은 세상 안에서 성사(聖事)가 됩니다.

우리는 막연히 우리의 이기심이 만들어낸 하느님이라는 우상을 섬기면서 살아갑니다. 이기심은 나만 잘 살면 된다는 생각을 가져다 줍니다. 이는 어리석음의 소치이며, 이런 어리석음에 빠져 살면 하느님은 오로지 자신만을 위해 존재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할 때 우리는 실망하고 좌절합니다. 그러나 하느님 앞에 선 인간의 본래 모습은 겸손과 섬김의 자세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039호 2010.03.07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 정영한 신부 
2189호 2012.11.25  그리스도 왕은 진리와 사랑의 봉사자이시다 정영한 신부 
2339호 2015.08.02  확고한 믿음의 표현인 영성체 정영한 신부 
2561호 2019.09.22  십자가는 고통이 아니라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것 file 정영한 신부 
2703호 2022. 5. 1  부활 증인의 미사 file 정창식 신부 
1983호 2009.03.08  우리 본래 모습을 찾아서 정필종 신부 
2099호 2011.04.03  우리도 눈먼 자라는 말은 아니겠지요? 정필종 신부 
2321호 2015.03.29  예수님의 슬픔 정현진 신부 
2245호 2013.11.24  사랑하는 아버지의 선물 정호 신부 
2388호 2016.06.26  “예루살렘으로 가시려고 마음을 굳히셨다.”(루카 9, 51) 정호 신부 
2693호 2022. 2. 20  “너희는 사랑하여라.” file 정호 신부 
1966호 2008.11.23  하느님과 이웃을 섬기는 사람 조동성 신부 
2083호 2010.12.26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조동성 신부 
2233호 2013.09.08  신앙의 열정 조동성 신부 
2435호 2017.05.21  성령께서 인도하시는 삶 file 조동성 신부 
2598호 2020.05.24  승천은 우리의 희망 file 조동성 신부 
2780호 2023. 10. 22  우리의 사명 file 조동성 신부 
2304호 2014.12.14  주님을 증거하는 이 조성문 신부 
2516호 2018.11.25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file 조성문 신부 
2746호 2023. 3. 5  진정으로 사랑하면 보여주게 되는 것 file 조성윤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