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71호 2012.07.29 
글쓴이 홍경완 신부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메데리코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mederico@cup.ac.kr)

예수님에 대해 ‘자유인’이라는 표현을 자주 합니다. ‘예수는 자유의 몸이시다’라는 제목을 단 책도 있습니다. 매우 정확한 묘사라고 여겨집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생각해 볼 것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자유로운 분이시라는 표현은 무엇보다, 그분의 사고와 행위가 자유롭다는 말입니다. 사고와 행위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변 환경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응이나 반복되어 익숙해진 행위들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인간 행위는 생각의 결과물들입니다. 생각하는 것이 곧 행동으로 연결됩니다. 예수님께서 자유인이실 수 있음은, 그분의 생각이나 행위가 어딘가에 얽매여 있거나 틀에 갇혀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 자유로움이 하느님의 본질적 속성입니다. 질문처럼 생각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은 나의 사고가 자유롭지 못하고 어딘가 매여있기 때문이며, 스스로는 깨닫지 못하는 어떤 틀 속에 갇혀있기 때문입니다. 경직되어 있다고 느낄 때가 기회입니다. 그러나 제대로 생각하기 위해선 연습이 절대적으로 요구됩니다. 거꾸로 생각하고, 뒤집어 생각하고, 넓게 생각하고, 새롭게 생각하는 연습입니다. 이렇게 생각연습이 필요한 이유는 독단으로 굳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독단은 언제나 우리 신앙생활의 커다란 위협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96 2435호 2017.05.21  화를 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화가 납니다. 운전할 때, TV를 보다 마음에 안 드는 정치인이 나왔을 때, 제가 생각해도 지나치다 싶을 만큼 화가 납니다. 가끔은 제가 놀랄 정도의 말이나 행동을 합니다. 그리고 화를 내고 나면 마음이 불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209
295 2440호 2017.06.25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나를 비난한 사람 때문에 마음이 너무나 괴롭습니다. 제가 잘못한 것도 없고, 상처를 준 것도 없는데 저한테 왜 그랬을까요? 그렇다면 저는 어떻게 해야 이 마음이 풀릴까요? 홍성민 신부  214
294 2445호 2017.07.30  세례받으신 지도 오래되셨고, 성당에서 봉사활동도 많이 하는 분인데, 하시는 말씀이나 행동에서 인격적인 성숙함이 부족해 보이는 분을 종종 봅니다. 그럴 때마다 신앙생활을 해도 소용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열심히 하는 신앙생활이 인격적인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홍성민 신부  254
293 2450호 2017.09.03  요즘 일에 대한 스트레스가 점점 더 커집니다. 그런데 일을 내려놓고 쉬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어떤 일은 꼭 지금 당장 해야 하는 일도 아닌데, 이상하게도 그 일을 놓기가 힘이 들고, 불안한 기분이 들 때도 있습니다. 홍성민 신부  96
292 2455호 2017.10.08  술 때문에 요즘 제 삶에 많은 문제가 일어납니다. 사실 술을 끊고 싶다는 생각도 합니다. 그런데 마음이 괴롭고 힘들어서 술이라도 마시지 않으면 견딜 수가 없습니다. 술을 좀 쉽게 끊는 방법이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04
291 2460호 2017.11.12  제가 아는 8살 아이가 불치의 병에 걸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어린아이가 무슨 죄가 있어 이런 고통을 겪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202
290 2465호 2017.12.17  예전부터 두통이 있거나, 몸살이 오면 진통제를 먹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약 없이 못 살 것 같아서 불안합니다. 안 먹어보려고도 했는데, 그러면 통증 때문에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약을 좀 더 쉽게 끊는 방법은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32
289 2472호 2018.01.21  아이를 키우다 보면 힘들 때가 많습니다. 계속 고집을 피우거나 말을 안 들을 때는 화가 나서 손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면 죄책감이 들 때도 있고, 내 성격이 이랬나 싶어서 자괴감이 들기도 합니다. 홍성민 신부  222
288 2478호 2018.03.04  죄가 있는 상태에서 성체를 모시면, 모령성체라는 말을 듣고 불안해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성체를 모독한 죄는 고해성사로도 사함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고 더 불안해졌습니다. 사실 미사 전에 고해성사를 볼 시간이 없어서, 그냥 성체를 영한 적도 많기 때문에 벌 받을까 봐 두렵습니다. 홍성민 신부  319
287 2484호 2018.04.15  저는 알코올 중독자는 아닙니다만, 술을 좋아해서 가끔 건강이 염려됩니다. 배도 점점 나오고, 술 마신 다음 날은 많이 피곤합니다.‘술을 좀 줄여야 하나?’라는 생각이 드는데, 금단현상 같은 것은 없지만,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려워질까 봐 그러지를 못합니다. 홍성민 신부  122
286 2490호 2018.05.27  아이에게 평소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지만, 제가 다른 사람들을 만나거나, 일해야 할 때는 스마트폰을 주곤 하였는데 후회하고 있습니다. 점점 빠져드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125
285 2496호 2018.07.08  제가 ‘일 중독’인 듯합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께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일에 과도하게 애착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안다고 해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딱히 일 말고는 관심 있는 일이 없고, 일을 유능하게 해낼 때의 성취감이 가장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건강에 여러 문제가 생기고, 인간관계에도 어려움이 많아 스트레스도 받습니다. 홍성민 신부  108
284 2503호 2018년 8월 26일  저는 지금 어떤 직업을 선택해서 앞으로 살아야 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직업을 두고 고민하다 보면, 그 직업이 사회적으로 악용되는 부분이나, 비윤리적인 부분이 보여서 고민입니다.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아가기 위해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홍성민 신부  95
283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66
282 2522호 2018.12.30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한 일이었는데, 상처도 받고 어려움도 겪다 보니 그만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시작할 때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는 제멋대로 그만두어도 되는지 걱정이 됩니다. 홍성민 신부  266
281 2155호 2012.04.08  사회가 물질적 풍요에 취하면서 종교는 점점 더 세력을 상실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얼핏 보기엔 물질적 풍요와 종교가 서로 반비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사실일까요? 홍경완 신부  153
280 2159호 2012.05.06  길을 찾는 그대에게라는 컬럼제목이 눈길을 잡았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길을 찾기 위해 맨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 라는 의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57
279 2163호 2012.06.03  지금 내가 추구하고 있는 삶의 방향이 옳은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옳은 길로 가고 있다는 확신을 어떻게 가질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149
278 2167호 2012.07.01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사후피임약처럼 논란이 되는 사회문제나, 교육과 관련된 문제에서 가치관이란 말이 자주 언급됨을 봅니다. 그렇다면 그리스도교의 가치관이 여타의 가치관과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82
» 2171호 2012.07.29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5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