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70호 2012.07.22 
글쓴이 장재봉 신부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스테파노 신부 / 활천성당 주임

교회법은 인간이 만드는 국법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하느님으로부터 사명을 받은 교회의 교도권이 하느님의 뜻에 근거하여 예수님의 이름으로 인간 영혼의 구원에 유익하도록 제정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인의 임의대로, 편의대로 해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혀 드립니다.
가톨릭 교회는 개신교가 같은 하느님을 믿는, 갈라져 나간 형제라는 점을 분명히 인정합니다. 그들과의 일치를 위해서 노력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가톨릭 교회로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기도합니다. 개신교의 전례에는 잃어버린 하느님의 뜻이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개신교 예배는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가 함께 어우러져 하나 되는 신비를 갖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교회의 탄생은 십자가 위에서 흘리신 주님의 늑방으로부터 나옵니다. 주님 희생의 절정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성찬의 전례가 없는 탓에 그 몸과 피로서 새로운 삶으로 초대받는 신비가 결여되어 있습니다. 결코 똑같은 전례가 아닌 것이지요.
가톨릭 교회를 통해서 전승되어 계승되고 있는 귀한 은총을 허술히 여기는 어리석음을 단속하기 바랍니다. 십자가 위에서 스스로 제물이 되시어 봉헌하신 예수님의 완전한 천상 은총을 놓칠 수는 없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16 2457호 2017.10.22  지난번에 언급한‘초월적 가치’란 말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습니다. 홍경완 신부  105
215 2462호 2017.11.26  위령성월의 보다 깊은 의미를 묻고 싶습니다. 단순히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하는 시간은 아닌 것 같기 때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149
214 2468호 2017.12.31  성경을 읽으며 하느님에 대해 상상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런 상상이 위험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상상하는 일이 신앙에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29
213 2475호 2018.02.11  오늘도 근근이 살아가고 있는데, 미래는 더욱 캄캄해서 불안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조차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52
212 2481호 2018.03.25  사순 시기에 특히 회개라는 단어를 자주 접합니다. 회개가 단순히 죄를 뉘우치는 것만은 아닌 것 같아 묻습니다. 회개의 보다 깊은 의미가 있다면 그게 무엇일까요? 홍경완 신부  115
211 2487호 2018.05.06  불안한 미래 때문에 두렵습니다. 아무 것도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아 더 그렇습니다. 홍경완 신부  164
210 2493호 2018.06.17  아들과 관계가 점점 힘이 들더니 이젠 아예 틀어졌습니다. 아무리 애써도 그 녀석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13
209 2499호 2018.07.29  미사나 기도할 때 손을 꼭 모아야 하나요? 홍경완 신부  202
208 2506호 2018.09.16  ‘아버지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도록 기도는 매일 합니다만, 실은 어떤 것이 내 뜻이고 어떤 것이 하느님의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91
207 2512호 2018.10.28  주일에 일하지 말고 쉬라는 파공의무가 여전히 유효한지요? 하는 일에 따라 밤낮이 따로 없고, 평일과 휴일의 구분도 모호해진지 오래라서 던지는 질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71
206 2518호 2018.12.09  무슨 일이든지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 차 있습니다. 놀면 죄 짓는 것 같고, 그냥 아무 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괜히 두렵기도 합니다. 홍경완 신부  97
205 2154호 2012.04.01  길을 찾는 그대에게 장재봉 신부  240
204 2158호 2012.04.29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기는 하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교리시간에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계시다면 그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장재봉 신부  111
203 2162호 2012.05.27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장재봉 신부  312
202 2166호 2012.06.24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 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43
»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9
200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0
199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37
198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5
197 2186호 2012.11.04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8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