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심장인 성체와 성혈

가톨릭부산 2017.06.14 10:27 조회 수 : 145

호수 2439호 2017.06.18 
글쓴이 김성한 신부 

교회의 심장인 성체와 성혈

 

김성한 신부 / 양산성당 주임

 

  산소 호흡기에 의존하면서도 병문안 온 손주에게“밥을 차려 주어야 되는데”하는 할머니의 작은 목소리에 마음이 뭉클합니다.
  초라한 모습으로 돌아가신 뒤 장기기증으로 아무것도 없지만, 따뜻한 밥 한 끼 먹이고 보내려는 따뜻한 사랑의 온기를 느껴봅니다.
  예수님은 이는 너희를 위해 내어주는 내 몸이며, 이는 너희를 위해서 흘리는 피라고 말씀하심으로써 자신의 전부를 내어놓은 희생을 가르치고 계십니다. 남을 위한 희생은 우리 안에 살아계신 주님의 힘이 우리를 통해 이웃에게 전해지게 합니다.


  쪼개어진 빵, 남을 살리기 위한 빵이 되기 위해서는 가루가 되고 반죽이 되어 생명의 빵으로서 씹히고 소화되어 사라져야 합니다. 그렇게 예수님께서도 남을 살리기 위해 가장 소중한 생명을 내어놓으셨습니다.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내 안에 머무르고 나도 그 사람 안에 머무른다.”(요한 6, 56)


  내 안에 오신 주님 덕분에 구원의 길이 열렸습니다. 우리는 부활하신 몸을 먹음으로써 주님처럼 되었습니다. 모유를 먹고 자란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가 다르고, 하늘을 높이 날아오는 독수리와 사람에 의해 길들어진 독수리, 밀림 속을 뛰어다니며 포효하는 호랑이와 우리에 갇힌 호랑이가 다르듯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모신 우리들은 그리스도를 닮고 그분처럼 살아가야 합니다.

 

  주님의 살과 피는 우리 모두가 영원히 살기 위해 먹어야 할 참된 음식이며 참된 음료입니다. 생명의 빵을 먹고 마시지 않으면 우리는 아무리 배불리 먹고 마셔도 공허함만 느끼게 되고 죽음의 공포에 억눌려 희망 없이 살아가게 됩니다.

 

   초대교회 공동체가 희생과 나눔으로 주님의 삶을 실천하며 한마음이 되어 즐겁고 순박한 마음으로 살 수 있었던 것은 빵을 떼어 나누는 성체성사의 삶을 살았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생명의 빵, 살아있는 빵이신 주님께서는 인간적 고통과 죽음을 우리와 함께 나누고 부활의 새 생명을 주시며, 덤으로 위로와 희망, 기쁨과 행복까지 주십니다.

 

  교회의 심장인 성체 성사의 실천은 세상 안에서 소외되고 고통받는 어렵고 힘든 우리 이웃들에게도 행해져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주님께서 원하시고 바라시는 사랑의 성사, 성체이기 때문입니다. 성체를 영하는 것은 나도 주님처럼 나를 쪼개어 내놓기 위함임을 기억합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232호 2013.09.01  바리사이, 이들은 지켜보고 있다. 김성규 신부 
2434호 2017.05.14  부활, 믿음을 증명하는 시기 file 김성규 신부 
2597호 2020.05.17  그분이 나에게 하신 일들을 들려주리라. file 김성규 신부 
2779호 2023. 10. 15  “어서 잔치에 오시오.” file 김성규 신부 
2067gh 2010.09.19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김성남 신부 
2216호 2013.05.19  교회의 역할 그리고 소통 김성남 신부 
2421호 2017.02.12  믿는 사람은 달라야 한다. 김성남 신부 
2585호 2020.02.23  원수를 사랑하여라 김성남 신부 
2766호 2023. 7. 16  “귀 있는 사람은 들어라!” file 김성남 신부 
1969호 2008.12.14  자선과 겸손 김성한 신부 
2237호 2013.09.29  선택받지 못한 부자보다 선택받은 라자로 같이 김성한 신부 
2439호 2017.06.18  교회의 심장인 성체와 성혈 file 김성한 신부 
2602호 2020.06.21  사랑이 두려움을 이겨 냅니다 file 김성한 신부 
2784호 2023. 11. 19  사랑의 능력 file 김성한 신부 
2080호 2010.12.12  “오실 분이 선생님이십니까?” 김성환 신부 
2002호 2009.07.17  착한 목자 예수님의 마음 김수원 신부 
2121호 2011.08.28  하느님의 뜻과 내 뜻 사이에서 김수원 신부 
2476호 2018.02.18  광야는 은총의 장소 file 김수원 신부 
2636호 2021.01.31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려고 하는가? file 김수원 신부 
2744호 2023. 2. 12  주님의 감실인 우리 file 김수진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