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우리의 '생명수'

가톨릭부산 2015.10.07 04:40 조회 수 : 35

호수 1989호 2009.04.19 
글쓴이 박용수 요셉 

하느님께서는 우리 인간들의 피부색과 얼굴 모양을 제각기 각각 다르게 만들어 놓았다. 특히, 사람 몸의 70∼80%는 무기질(물)로 형성되어 5%를 잃으면 혼수상태, 10∼12%가 몸에서 빠지면 생명을 잃게 만들어 놓았다. 우리 인간 생명은 물과 직결되기 때문에 물 없이 삶을 생각할 수 없고 또, 우리 인간들 뿐 아니라 이 지구상에 모든 생명체도 물 없이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우린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오늘날 발달된 의학 의술에서도 물(피)을 이용하여 몸 건강 검진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하느님께서 주신 '성수물' 역시 우리 인간들의 죄를 없애고 마귀를 쫓아 악한 생각을 없애주는 우리 인간들 나약함의 '성례물'이다.

그런데 요즘은 어떠한가? 우리가 살고있는 이 지구를 개발이라는 이유로 자연 환경을 무분별하게 파괴하고 자연을 훼손시키고 있다. 유엔(UN) '수자원개발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아시아 지역에서 물 부족 국가(2006년부터)로 분류되었다. 이제 우리의 물에 대한 인식도 좀 달라져야 하고 자연 환경을 지키고 아껴야 한다. 물을 물처럼 써서는 안 되는 것이다. 지금 곳곳에 기상 기온(온실가스과다배출, 온난화현상) 이상 변화로 각종 질병 뿐 아니라 자연 환경 파괴로 지구가 몸살을 앓고 물 부족으로 인하여 우리 인간들을 더 불안하고 있는 것이 우리 현실에 바로 다가온 것이 바로 30년만의 폭염과 35년만의 가뭄으로 우리 생활을 위협한 태백시와 남해 도서 지방의 물 부족 사태이다.

물은 생명수이다. 우리는 물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 게다가 우리 국민이 10%만 물을 아끼면 280억 원을 절약할 수 있다. 한번 잃어버린 지구 생태계는 다시 복원되기 어렵다. 이는 무엇으로도 보상받을 수 없으며 자연의 생태계가 허물어진 곳에는 새나 동식물도 살아갈 수 없으며 이런 황폐한 환경에서는 우리 인간도 살아갈 수없다. 다가오는 '세계 지구의 날'(4월22일)을 맞아 자연 환경을 지키고 지구를 살려야한다는 것을 우리 모두 명심해야 되겠다. (구포성당)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1 2567호 2019.11.03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file 가톨릭부산  33
» 1989호 2009.04.19  물은 우리의 '생명수' 박용수 요셉  35
249 2157호 2012.04.22  성소 주일을 앞두고…… 성소국  35
248 2270호 2014.04.27  24년을 감사하며 장영호, 천귀애 부부  35
247 2448호 2017.08.20  제6기 사회교리학교를 수료하며 - 금 긋기에 대한 기억 이인경 안젤라  35
246 2621호 2020.11.01  대양고등학교(구, 대양전자통신고) file 대양고등학교  35
245 2725호 2022. 10. 2  제4차 부산교구 평신도 아카데미에 함께 합시다! 조숙희 클라라  35
244 2431호 2017.04.23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37
243 2511호 2018.10.21  '믿음의 해' 특집 (1) 올해 사목지침대로 잘 살고 계십니까? 마무리 할 때가 다가옵니다. file 가톨릭부산  37
242 1974호 2009.01.04  너무 늦은 후회 이성일 로렌죠  38
241 1983호 2009.03.08  하늘이 내려 주신 동아줄 이경자 크리스티나  38
240 2204호 2013.02.24  겨울이야기 김두황 클레멘스  38
239 2444호 2017.07.23  첫영성체반과 함께 하면서 장현희 카타리나  38
238 2586호 2020.03.01  나의 하느님을 만나는 방법 서홍식 프란치스코  38
237 2649호 2021.05.02  희망의 봄을 기다리며 길선미 미리암  38
236 1991호 2009.05.03  제46차 성소주일 교황 담화문(요약) 주보편집실  39
235 2778호 2023. 10. 8.  제3회 6R 탄소단식 챌린지 file 선교사목국  39
234 2785호 2023. 11. 26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고등학교 - 데레사여고, 성모여고, 지산고등학교 file 가톨릭부산  39
233 2064호 2010.08.29  '희망’의 또 다른 이름 ‘청년’ 김용의 엘리사벳  40
232 2305호 2014/12/21  문화 복음화와 미디어 밥상 윤기성 신부  4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