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아야 할까?

가톨릭부산 2015.10.07 04:38 조회 수 : 100

호수 1986호 2009.03.29 
글쓴이 이부현 바오로 교수 

  삽시간에 모든 것이 자유 경쟁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 체제에서 살아남기 위해 무엇이 될 것인지 뚜렷한 목표를 세우고, 그것의 실현을 위해 한눈팔지 않고 계획적으로 살아야 한다. 자신에게도 남에게도 매정해야 한다. 오직 전진만 있을 뿐이다.

그러는 사이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좋은 삶인가 하는 것을 까맣게 잊고 말았다.

그래서 가정이 무너지고, 공동체가 무너지고 있다. 원하는 것을 이루었는데도, 나는 불행하다. 우울하다. 살고 싶지 않다.

 

이는 자신의 목표만을 생각하며 오랫동안 자기중심적으로 살아왔기 때문이다. 다시 시작해야 한다. '어떻게' 살아야 좋은 삶일까. 삶을 제대로 살기 위해 좋은 삶을 산 사람들의 글을 읽고 감동 받아야 한다.

또한 그것을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럴 때, 마음속에서 기쁨이 솟아날 것이다. 그럴 때, 벗이 생겨 기쁨이 바깥으로 표현될 것이다. 이제 남 탓을 안 하는 사람으로 변하게 될 것이다.

제대로 살겠다는 의지적 노력 없이 우리는 좋은 삶을 살 수 없다. 제대로 살기 위해 성경을 읽어야 한다. 또한 그 말씀을 실천해야 한다. 그럴 때, 바깥에서 와서 금방 사라지는 쾌락이 아니라, 내 안에서 와서 바깥으로 표출되는 열락(說樂)을 맛보게 될 것이다. 천국에서야 맛보게 될 열락을 얻어 만나게 될 것이다.

 

수십 년 동안 신앙생활을 해도 인격의 변화가 없다면, 우리 쪽의 노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수동적으로 성사 생활을 해왔기 때문이다. 성사는 요술 방망이가 아니라, 은총의 도구다. 삶과 신앙 전반을 반성하기 위해 '고전인문대학'(문철아카데미)을 연다. 제대로 사는 것이 무엇일까. '어떻게' 살아야 할까.

 

이부현 바오로 교수, 부산가톨릭대학 인문학연구소장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71 1963호 2008.22.02  위령성월을 보내며 김철현 라파엘  30
370 1966호 2008.11.23  제20회 부산 가톨릭 문예 작품 공모전 발표 문인협회  167
369 1967호 2008.11.30  언어치료를 통한 주님 사랑의 실천! 언어치료실  179
368 1969호 2008.12.14  교회 유지비(교무금, 주일헌금)에 대하여 주보편집실  219
367 1970호 2008.12.21  2008 새사제 서품 모토 주보편집실  275
366 1974호 2009.01.04  너무 늦은 후회 이성일 로렌죠  38
365 1977호 2009.01.25  설 차례 예식 주보편집실  148
364 1978호 2009.02.01  '바오로의 해’ 전대사 주보편집실  199
363 1979호 2009.02.08  그들의 친구가 되어 김종애 데레사  48
362 1981호 2009.02.22  김수환 추기경 선종 특집 file 주보편집실  14
361 1982호 2009.03.01  가톨릭센터를 아시지요 임석수 신부  155
360 1983호 2009.03.08  하늘이 내려 주신 동아줄 이경자 크리스티나  38
359 1985호 2009.03.22  당신의 사랑이 필요합니다! 메리놀병원 원목실  74
» 1986호 2009.03.29  '어떻게' 살아야 할까? 이부현 바오로 교수  100
357 1987호 2009.04.05  대학 캠퍼스 신앙의 요람인 가톨릭 학생회 강헌철 신부  95
356 1989호 2009.04.19  물은 우리의 '생명수' 박용수 요셉  35
355 1991호 2009.05.03  제46차 성소주일 교황 담화문(요약) 주보편집실  39
354 1993호 2009.05.17  선교는 사랑의 표현이고 사랑의 나눔이다 전동기 신부  106
353 1995호 2009.05.31  故 김수환 추기경님 추모 음악회를 개최하며 임석수 신부  106
352 1996호 2009.06.14  민족화해위원회를 소개합니다. 정호 신부  8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