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67호 2016.01.31 
글쓴이 홍경완 신부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mederico@cup.ac.kr

  청소년기의 가장 큰 특징을 저는‘문 닫아걸기’라고 생각합니다. 방문을 꼭꼭 닫아걸고 자기만의 세계로 숨어들어 버립니다. 이건 부모를 떠나 독립해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아주 정상적이고 필요한 자아형성 과정입니다. 마찬가지로 부모 편에서도 자녀를 품에서 놓아주어야 하는 때가 왔음을 알려주는 시그널이기도 합니다. 부모와 자녀 모두 홀로서기를 위한 준비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이 홀로서기가 실패했을 때 발생하는 어려움들을‘캥거루 맘’이란 신조어가 잘 말해줍니다. 이때 물리적으로 시간만 함께 한다거나, 앉혀놓고 이런저런 얘기들을 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제대로 된 관심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관심(關心)이란 말은 마음(心)을 끌어들이는(關) 것, 내 마음을 끌어다 상대편에게 갖다놓는 것을 말합니다. 가끔씩은 간섭이 관심이란 이름으로 미화되어 더 나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간섭과 관심은 다릅니다. 간섭이 내 맘대로 사랑하는 방식이라면, 관심은 사랑받는 느낌을 갖도록 이끌어 주는 것입니다.‘난 네가 무엇을 하든지 네 편이야!’라고 느끼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관심이며 영혼으로 자녀와 나누는 교감입니다.“사랑하라, 그리고 네가 원하는 바를 행하라.”아우구스티노 성인의 말씀을 다시 되새깁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6 2355호 2015.11.22  ‘깨어있으라’라는 복음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디에, 어떻게 깨어있어야 하는지 스스로 물어보지만 답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180
235 2361호 2015.12.27  본당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데, 힘들다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좀 지친 것 같습니다. 활동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99
» 2367호 2016.01.31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29
233 2372호 2016.03.06  가족들끼리 함께 하는 시간이 줄면서 대화도 점점 없어져 하숙집이 되어버렸습니다. 단란한 가족은 환상일 뿐인가요? 홍경완 신부  173
232 2377호 2016.04.10  어떤 이는 마지막까지 모든 것 다 누리다가 하느님 품으로 가고, 어떤 이는 가난과 질병의 고통 속에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하느님의 공평하심을 믿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홍경완 신부  493
231 2382호 2016.05.15  미사와 기도를 비롯한 신앙생활도 열심히 하고, 봉사활동도 나름 부지런히 하려고 애쓰며 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사는 것이 기쁘지 않습니다. 어디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303
230 2387호 2016.06.19  세상은 여전히 정의보다는 불의가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고, 조금 더 이기적으로 약삭빠르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처럼 보입니다. 눈앞에 펼쳐진 것을 넘어서는 희망을 어디서 발견할 수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147
229 2392호 2016.07.24  성당에 가면 늘‘기뻐하라’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내 삶이 그리 기쁘지도 않고, 또 그리스도인이라면 왜 기뻐해야 하는지 그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31
228 2397호 2016.08.28  너무 많이 가지고 있다고 늘 반성하면서도 틈만 나면 더 가지고 싶어 합니다. 그럴수록 버리라는 성경 말씀은 더 무겁기만 합니다. 더 가지고자 하는 삶은 나쁜가요? 홍경완 신부  199
227 2402호 2016.10.02  물질적인 것에도 그렇고, 자녀도 그렇고, 너무 많은 것들에 애착하며 살아갑니다. 자신을 버리라는 복음의 요청 앞에서 부끄럽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버리고 사는 게 과연 가능한지도 의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290
226 2407호 2016.11.6  이해하지 못하면 잘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신앙생활도 그래서 힘이 들 때가 많습니다. 저를 좀 이해시켜 주십시오. 홍경완 신부  152
225 2412호 2016.12.11  현실에만 매달리며 사는 것은 교회의 가르침과 반대된다고 들었습니다. 살기 위해선 그래야 되는 것 아닌가 싶어 의문이 생깁니다. 홍경완 신부  80
224 2417호 2017.01.15  교회의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겠다 하니 그냥 믿으라고 합니다. 그게 쉽지 않습니다. 무조건 받아들이는 태도 아래서만 신앙이 가능한 것인가요? 홍경완 신부  156
223 2422호 2017.02.19  마음이 부자인 행복한 삶을 가꾸고 싶습니다. 가진 것이 많다 해서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신앙에 그 힌트가 있을 것 같아서 물어봅니다. 홍경완 신부  194
222 2427호 2017.03.26  사순절에 더 자주 듣는 말이 회개하라는 요청입니다. 회개가 죄와 연관되어서 그런지, 뉘우치라 하는데 그게 힘들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이 말이 점점 더 싫어집니다. 홍경완 신부  110
221 2432호 2017.04.30  하느님과 세상, 복음의 가르침과 세상의 가르침을 앞에 두고 그 가운데에서 갈등을 할 때가 참 많습니다. 신앙인으로서 복음을 더 많이 선택하고는 싶은데, 결과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홍경완 신부  114
220 2437호 2017.06.04  ‘복음을 살아라’는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너무 막연해서 내용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어떤 삶이 복음을 사는 것인지요? 홍경완 신부  134
219 2442호 2017.07.09  공동체란 말을 자주 듣습니다. 이제까지 아무 생각 없이 듣다가 문득 의문이 생겼습니다. 본당이 공동체라는 말, 억지 아닌가요? 홍경완 신부  114
218 2447호 2017.08.13  중요한 선택을 앞둔 젊은이입니다. 여러 가능성이 제 앞에 놓여 있습니다. 무엇이 그 기준이어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241
217 2452호 2017.09.17  지나치게 현실적인 문제만 고민하다가, 꼭 이렇게 살아야 하나 싶어 슬퍼졌습니다. 이 슬픔의 원인이 무엇인지도 모르겠고, 그렇다고 현실을 무시하지도 못하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5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