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65호 2012.06.17 
글쓴이 홍성민 신부 

요즘 들어 부쩍 가족들이나 친구들에게 짜증을 냅니다. 별것 아닌 일에 화를 내게 되고, 또 그렇게 화를 내고 나면 저 자신이 싫어집니다. 참으려고 노력도 하고, 또 결심도 해 보지만, 다시 그렇게 하는 제 모습에 화가 납니다.

홍성민 신부(임호성당 보좌 신부) parvus@hanmail.net

우리는 쉽게 내 기분의 상태에 대해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구분하곤 합니다. 하지만 기분의 상태, 그 자체는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부정적인 기분을 문제시하는 것은 오히려 해결의 실마리를 막아버릴 수 있습니다. 참는 데는 분명히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참으려고 애쓰기보다 내가 무엇이 불편한지, 그것을 먼저 살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필요(needs)와 욕구(wants)는 구분해야 합니다. 배가 고프면 사람이 예민해지듯이, 내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또 그렇게 해주는 ‘자기 돌봄’(self-care)은 중요합니다. 중독자들이 치유과정에서 사용하는 말 중에 ‘재발위험신호’라는 것이 있습니다. HALT라고 하는데, Hungry(배고플 때), Angry(화났을 때), Lonely (외로울 때), Tired(피곤할 때) 이 네 가지 상황을 말하는 것입니다. 만약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화가 나 있다면, 우리는 우선 그 사람의 기분을 풀어주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런 관심과 노력을 자신에게도 해 주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하라고 하셨습니다. 네 주위 사람들을 사랑하기 위해서라도 자신을 사랑하고, 용서하고, 위로하고, 지지하는 노력을 해보셨으면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6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5
235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5
234 2195호 2012.12.30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 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 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장재봉 신부  84
233 2154호 2012.04.01  길을 찾는 그대에게 장재봉 신부  240
232 2158호 2012.04.29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기는 하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교리시간에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계시다면 그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장재봉 신부  111
231 2162호 2012.05.27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장재봉 신부  312
230 2166호 2012.06.24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 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43
229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9
228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0
227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37
226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5
225 2186호 2012.11.04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82
224 2190호 2012.12.02  29세 여자입니다. 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 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 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 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장재봉 신부  146
223 2200호 2013.01.27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 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장재봉 신부  240
222 2204호 2013.02.24  세상을 살아가는 데 유혹이 없을 수가 있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장재봉 신부  135
221 2208호 2013.03.24  견뎌내야 할 ‘시련’과 물리쳐야 할 ‘유혹’을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만약 유혹의 경우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91
220 2212호 2013.04.21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장재봉 신부  153
219 2216호 2013.05.19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5
218 2220호 2013.06.16  착하게 살면 되지, 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장재봉 신부  102
217 2224호 2013.07.14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4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