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37호 2017.06.04 
글쓴이 홍경완 신부 

‘복음을 살아라’는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너무 막연해서 내용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어떤 삶이 복음을 사는 것인지요?

 

홍경완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mederico@cup.ac.kr

 

  그리스도인이란 말은 많은 의미를 담고 있지만, 그 핵심에는 단순히‘하느님을 믿는 사람들’이 아니라,‘나자렛 사람 예수를 그리스도요 하느님으로 고백하는 사람들’이라는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신앙의 중심에 예수님이 자리하고 있어야 그리스도인이 됩니다. 바로 이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이 다름 아닌‘기쁜 소식’, 복음이지요. 그래서 복음을 살라는 말은‘그분처럼’말하고,‘그분처럼’ 생각하고,‘그분처럼’ 살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복음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들, 예수님께서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들은 세상이 중요하다고,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들과 많이 다릅니다. 세상에선 구석으로 밀려나는 가치들이 복음에선 중심을 차지합니다. 섬김만 해도 그렇습니다. 세상은 다스림에 더 높은 가치를 두지만, 예수님은 제자들 발을 씻기면서 섬김에서만 참된 권위가 오기에, 섬김이야말로 참된 다스림이라고 가르치십니다. 우리가 복음의 가치로 서로 섬기고자 할 때, 서로 용서하고자 할 때 복음의 가치에 좀 더 가까워집니다. 이게 말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우선 해 보라 권합니다. 거기서 얻어지는 기쁨이 이제까지 알고 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전혀 새로운 삶을 바꾸는 기쁨이기 때문입니다. 성령께서 함께 하겠다 하십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6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5
235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5
234 2195호 2012.12.30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 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 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장재봉 신부  84
233 2154호 2012.04.01  길을 찾는 그대에게 장재봉 신부  240
232 2158호 2012.04.29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기는 하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교리시간에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계시다면 그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장재봉 신부  111
231 2162호 2012.05.27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장재봉 신부  312
230 2166호 2012.06.24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 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43
229 2170호 2012.07.22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 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119
228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0
227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37
226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5
225 2186호 2012.11.04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82
224 2190호 2012.12.02  29세 여자입니다. 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 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 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 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장재봉 신부  146
223 2200호 2013.01.27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 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장재봉 신부  240
222 2204호 2013.02.24  세상을 살아가는 데 유혹이 없을 수가 있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장재봉 신부  135
221 2208호 2013.03.24  견뎌내야 할 ‘시련’과 물리쳐야 할 ‘유혹’을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만약 유혹의 경우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91
220 2212호 2013.04.21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장재봉 신부  153
219 2216호 2013.05.19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5
218 2220호 2013.06.16  착하게 살면 되지, 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장재봉 신부  102
217 2224호 2013.07.14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4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