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군대 역사와 기원]
푸른군대 창설자인 해롤드 콜갠 신부와 존 해퍼트는 1961년 10월 21일 산 지오반니 로톤도
파티마의 세계 사도직(푸른군대)은
아주 단순하면서도 오묘하게 시작되었다.
아주 단순하면서도 오묘하게 시작되었다.
1946년 미국의 기자 존 해퍼트는
파티마의 성모 발현을 목적한,
가르멜 수녀원에 있는 루치아 수녀를 찾게 되었다. 그는 약 4시간 동안 루피아 수녀와 대화하면서 다음과 같은 오직 한가지 질문만 했다.
파티마의 성모 발현을 목적한,
가르멜 수녀원에 있는 루치아 수녀를 찾게 되었다. 그는 약 4시간 동안 루피아 수녀와 대화하면서 다음과 같은 오직 한가지 질문만 했다.
"성모 마리아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공산주의가 회개하고 민족들의 멸
망을 막고 세계 평화를 가져오기 위하여 우리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합니까?
그때 루치아 수녀는 이렇게 대답했다.
"매일 자신의 모든 의무를 성모님께 봉헌하고 그 봉헌을 생활화하는 것입니다."
그 이후 루치아 수녀의 도움으로 파티마 레이리아의 주교의 승낙을 얻어 파티마의 세계 사
도직(푸른군대)의 서약서가 작성되었다.
존 해퍼트는 그 당시 16만 명의 구독자를 가진 <스카풀라의 사도직>이란 잡지의 편집장이었다. 그는 미국으로 돌아온 후 그 서약문에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서명을 받기 위하여 캠페인을 벌이기 시작햇고, 그 해 말경 125만 명의 신자들이 서약서에 서명하게 되었다.
한편 1946년 미국 뉴욕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플레인필드(Plainfield)의 성모 마리아 성당에서 열심히 사목하던 해롤드 빅터 콜갠(Herald Victor Colgan) 신부는 장례미사를 집전
하던 도중에 갑자기 심장 마비로 스러지게
되었다.
병원에 입원 중이던 그는 그해 성모님의
되었다.
병원에 입원 중이던 그는 그해 성모님의
원죄없는 잉태 대축일인 12월 8일, 침대 곁에 있는 성모상 앞에서 이렇게 약속했다. "사랑하
올 어머니, 저의 건강을 회복시켜 주신다면 저는 앞으로 당신을 위하여 남은 생애를 바치겠습니다." 그후 그는 기적적으로 건강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
자신의 약속을 잊어버리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어떻게 봉사해야 할지 모르고 있었던 그는
치유된 후 두 달이 지난 어느 날 파티마에관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 그는 파티마에 대해서 듣
기는 했지만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으나, 그때는 그 메시지가 마음속 깊이 와 닿았다.
특히 성모 마리아의 요청을 채워드리면 러시아가 회개하고 세상에는 평화가 올 것이라는 약속의 말씀에 큰 감명을 받았다. 그는 그 메시지를 깊이 연구한 뒤에 주일마다 계속해서 본당 신자
특히 성모 마리아의 요청을 채워드리면 러시아가 회개하고 세상에는 평화가 올 것이라는 약속의 말씀에 큰 감명을 받았다. 그는 그 메시지를 깊이 연구한 뒤에 주일마다 계속해서 본당 신자
들에게 그에 대한 강론을 했다.
그리고 그 다음 주일에 이 메시지를 따라 마리아의 요청에 응답하고자하는 사람은 가슴에 푸른색 리본을 달고 매일 묵주의 기도를 바치겠다는 서약서를 가지고 오라고 했다.
푸른색은 성모님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 다음 주일이 되자 의외로 많은 신자들이 푸른 리본을 달고 서약서를 가지고 성당에 왔다. 또 생각지도 않았는데 본당 신자들이 다른 본당 신자들에게도 서약서를 보내어 많은 사람들이 서약하게 되었다.
이때 그는 자신도 모르게 "이제 우리 본당은 푸른군대가 되겠구나"하고 말하고는 "무신론 공산주의자들은 붉은 군대를 만들어 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성모님의 푸른 깃발 아래 모여 그들이 회개 하도록 성모님의 요청을 실천에 옮기는 푸른군대(The Blue Army)가 되어야 하겠습니다."하고 외쳤다.
그때부터 푸른 표시를 한 "푸른군대"라는 이름이 이웃 마을과 미국 전체로, 급기야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기 시작햇던 것이다. 이리하여 현재 전 세계의 푸른군대 회원들은 약 2천5백만명이 넘게 되었다.
그리고 그 다음 주일에 이 메시지를 따라 마리아의 요청에 응답하고자하는 사람은 가슴에 푸른색 리본을 달고 매일 묵주의 기도를 바치겠다는 서약서를 가지고 오라고 했다.
푸른색은 성모님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 다음 주일이 되자 의외로 많은 신자들이 푸른 리본을 달고 서약서를 가지고 성당에 왔다. 또 생각지도 않았는데 본당 신자들이 다른 본당 신자들에게도 서약서를 보내어 많은 사람들이 서약하게 되었다.
이때 그는 자신도 모르게 "이제 우리 본당은 푸른군대가 되겠구나"하고 말하고는 "무신론 공산주의자들은 붉은 군대를 만들어 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성모님의 푸른 깃발 아래 모여 그들이 회개 하도록 성모님의 요청을 실천에 옮기는 푸른군대(The Blue Army)가 되어야 하겠습니다."하고 외쳤다.
그때부터 푸른 표시를 한 "푸른군대"라는 이름이 이웃 마을과 미국 전체로, 급기야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기 시작햇던 것이다. 이리하여 현재 전 세계의 푸른군대 회원들은 약 2천5백만명이 넘게 되었다.
1948년 콜갠 신부는 자신의 본당에 존 해퍼트를 초청하였고, 그의 강론을 들은 후 그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푸른군대는 놀라운 발전을 하게 되었고 존 해퍼트는 해롤드
콜갠 몬시뇰과 함께 푸른군대의 공동 창설자가 된 것이다.
1950년 콜갠 시부와 존 해퍼트는 성모 성년을 맞이하여 처음으로 파티마를 순례했다. 그들은 약 100만 명의 서약서를 성모님께 바치고 성모 마리아께서 발현하신 나무 밑에 그것을 묻었다.
오늘날도 서약서는 그곳에 묻혀있으며 그곳에서는 새로 서약하는 이들을 위한 기도가 계속해서 바쳐지고 있다.
오늘날도 서약서는 그곳에 묻혀있으며 그곳에서는 새로 서약하는 이들을 위한 기도가 계속해서 바쳐지고 있다.
1950년 5월 8일 그들은 로마로 가서 비오 12세 교황을 알현했다. 그때 비오 12세 교황은 콜
갠 신부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신부님은 이제 무신론 공산주의와 싸우는 총지휘자가
되셨군요. 나는 그런 의미에서 신부님과 푸른군대 모든 회원들에게 장엄 축복을 내리겠습니다."
푸른군대 창설자인 해롤드 콜갠 신부와 존 해퍼트는 1961년 10월 21일 산 지오반니 로톤도
를 방문하여 오상의 비오 신부에게 푸른군대의 영적 아버지가 되어주고 푸른군대 단원들을
영적 자녀로 받아들여 주기를 요청했다.
그때 비오 신부는 흔쾌히 승락하면서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푸른군대에 서약한 이들이 서약에 충실히 살아간다면 나는 그들을 나의 영적 자녀로 받아들이겠습니다."
그때 비오 신부는 흔쾌히 승락하면서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푸른군대에 서약한 이들이 서약에 충실히 살아간다면 나는 그들을 나의 영적 자녀로 받아들이겠습니다."
또한 그때 그들은 비오 신부에게 "러시아가 언제 회개 하겠습니까?"라고 질문했는데, 비오
신부는 이렇게 대답했다. "내 생각엔 공산주의자 한 사람 한 사람을 위해 열심히 기도하는 푸른군대 각 단원이 있을 때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 후 푸른군대(The Blue Army)는 1985년 10월에 열린 국제 회의에서 로씨(Rossi) 추기
경의 제안에 따라 "파티마의 세계 사도직"(The World Apostolate of Fatima)이란 명칭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파티마에서 발현하신 성모님의 요청을 전파하는 목적은 변함이 없다.
-아베마리아출판사 파티마의 세계 사도직
(푸른군대)책 내용에서-
(푸른군대)책 내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