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참으로 애석한 죽음이 있었다.
8세 어린이가 보호받으며 성장해야하는 곳, 학교에서 그것도 교육자인 선생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였다.
선생은 정신질환으로 휴직했다가 전문의 소견을 반영하여 복직이 가능했다고 한다. 즉, 복직서류로 제출한 정신과 전문의가 발급한 진단서를 근거로 복직시켰다고 한다.
그 선생의 복직을 가능하게한 "전문가의 판정"이 우리사회의 일면을 깨닫게 한다.
다시말하면, 자신의 이익 앞에서 무책임으로 일관하는 전문가(지도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런저런 인허가자, 승인권자, 선생, 의사, 변호사, 검사, 판사, 경찰, 부동산중개사, 평가사 등등 그리고 현재 최고권력법기술자까지도.
따라서, 전문가들이 어떤 함정에서 취약한지를 공익적 차원에서 위험성을 공개하고 위험요소에 대한 주기적 평가가 요원해 보인다.(천......국...)
8세 어린이가 보호받으며 성장해야하는 곳, 학교에서 그것도 교육자인 선생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였다.
선생은 정신질환으로 휴직했다가 전문의 소견을 반영하여 복직이 가능했다고 한다. 즉, 복직서류로 제출한 정신과 전문의가 발급한 진단서를 근거로 복직시켰다고 한다.
그 선생의 복직을 가능하게한 "전문가의 판정"이 우리사회의 일면을 깨닫게 한다.
다시말하면, 자신의 이익 앞에서 무책임으로 일관하는 전문가(지도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런저런 인허가자, 승인권자, 선생, 의사, 변호사, 검사, 판사, 경찰, 부동산중개사, 평가사 등등 그리고 현재 최고권력법기술자까지도.
따라서, 전문가들이 어떤 함정에서 취약한지를 공익적 차원에서 위험성을 공개하고 위험요소에 대한 주기적 평가가 요원해 보인다.(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