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32호 2017.04.30 
글쓴이 김준한 신부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 감물생태학습관 관장 jhkim7291@gmail.com

 

   벼농사의 계절이 다가왔습니다. 이미 모판에 볍씨를 뿌리고 흙을 덮어 자라게 했습니다. 그리곤 물을 댄 못자리논에 모판을 옮겨 놓고 부직포를 덮어 논에 적응하며 잘 자라도록 갈무리를 했습니다. 이제 5월 말 모내기를 하고 나면 온 들녘은 푸르름으로 가득하게 될 것입니다. 이즈음 언제가 농사를 위해 가장 적당한 때인지는 하늘을 보고, 또 땅을 보며 잘 가늠해야 합니다. 물론 150억 년에 1초가량의 오차만 나는 스트론튬 원자시계가 있다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비바람이 치든, 가뭄이 들든 어떤 외부조건에도 굴하지 않고 가능한 한 완벽한 시간을 측정하여 변치 않는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생명이 움트고 자라는 데는 그것으론 도저히 채울 수 없는‘예민한 정확성’이 필요합니다. 생명은 숨통이 트여야 자랍니다. 곧 홀로 머물지 않고 다른 생명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을 때라야 비로소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생명이 매번 새로운 단계로 도약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때는 다른 생명을 살펴야만 알 수가 있습니다. 이런 농사의 이치가 인간의 삶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나의 계획과 시간은 이웃의 계획과 시간을 고려하여 세워져야 합니다. 거기에다 하늘의 이치인 주님의 뜻에 맞추어야만 비로소 제대로 된 나의 계획과 시간을 마련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는 창조주 하느님의 신비를 눈치채는 게 쉽지가 않습니다. 기껏해야 관절 통증으로 비와 습도를 예측하는 수준으로 전락한 인간의 생체리듬은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멉니다. 시대의 징표도 하늘의 징조를 풀이할 줄 알고서야 가능하다고 한다면,(루카 12, 56 참조) 하늘도, 햇볕도, 바람도, 그 사이를 가득 채운 풍성한 피조물의 생명도 두루 살펴 내 삶의 풍요로움과 시대를 제대로 식별하는 길을 발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24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23 2102호 2011.04.24  부활의 기도 생명환경사목  23
22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21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20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9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18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7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16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15 2118호 2011.08.14  냉장고 속 의약품 생명환경사목  23
14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3 2123호 2011.09.11  도자기! 알고 씁시다. 생명환경사목  76
12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11 2367호 2016.01.31  감물에서 온 편지 - 미래를 위한 스펙 김준한 신부  161
10 2384호 2016.05.29  감물에서 온 편지 - 주님을 만나는 들녘 김준한 신부  75
9 2393호 2016.07.31  감물에서 온 편지 - 군식구는 없다 김준한 신부  163
8 2406호 2016.10.30  벼가을은 다 했나? 김준한 신부  77
7 2419호 2017.01.29  감물에서 온 편지 - 겨울 단상 김준한 신부  79
» 2432호 2017.04.30  감물에서 온 편지 -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5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