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21일 연중 제16주일 농민주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1990년대 농산물 시장 개방과 함께 농업 구조 조정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온 결과 지금 이 나라의 농촌은 극심한 농촌 인구의 감소, 농업 후계 인력의 태부족, 농가 소득의 하락과 더불어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 격차의 끊임없는 확대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쌀마저도 완전히 개방되는 바람에 식량의 해외 의존이 심화되고 있다. 또 유전자 조작 식품이 우리네 밥상에 버젓이 올라오고 있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자류를 비롯해서, 수입 옥수수와 수입 콩으로 만든 식용유, 카놀라로 만든 식용유에도 유전자가 조작된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농약을 치지 않고 유기농 농사를 짓는다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2년에서 3년 가량 실패를 겪어야 하고, 일손이 더더욱 필요한 일이라, 엄두도 못 내고 있는 실정이다. 농약 사용을 최대한 줄이려고 하지만, 여전히 농약으로 말미암는 환경 파괴는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환경 파괴의 영향으로 암환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고, 아토피와 같은 피붓병이 창궐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제 농민들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늘 복음은 우리에게 파견 받아 떠났던 예수님의 열두 제자들이 다시 예수님께로 돌아온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제자들은 마귀도 물리치고, 병든 이들을 낫게 하고, 복음을 선포하면서 사람들을 도울 수 있었음에 기뻐했고, 들떠 있었다. 스스로에게 대견하기도 했을 것이다. 파견 받은 제자들을 뒤따라 « 오고 가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음식을 먹을 겨를조차 없었고», 예수님과 제자들은 따로 배를 타고 외딴 곳으로 떠나갔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떠나는 것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육로로 함께 달려가 그들보다 먼저 그곳에 다다랐다는 말들로 유추해볼 때, 파견은 대성공이었다.
 
           대성공을 이룬 덕분에 허기가 지고, 피곤을 느끼게 된 제자들을 위해 예수께서는 그들을 외딴 곳으로 데리고 가신다. 그러나 그 외딴 곳의 쉼도 잠시, 사람들은 또다시 모여들었다. 모여든 사람들은 목자 없는 양들 같아서, 그들을 본 예수님께서는 가엾은 마음이 드셨고, 그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기 시작하셨다. 그뿐만 아니라, 바로 이 외딴 곳에서 5000명을 먹이신 기적을 행하신다. 이러한 예수님의 마음에서, 예수님의 따스한 눈길과 손길에서 우리는 참 목자의 모습을 발견한다.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나라 이 땅의 백성, 특히 가난하고 소외되고, 힘없고 돈 없는 백성, 일자리를 빼앗긴 백성, 반생명의 문화에 ‘그건 아니잖아’라고 온몸으로 외치는 백성, 생태계 파괴, 생명 위협과 같은 문제에 직면해서 고통을 당하고 있는 백성, « 너무 살기 힘들다 »고 한숨을 푹푹 내어 쉬는 백성을 예수께서 보신다면, 분명 참 목자가 가지고 있는 « 가엾은 마음 »을 품으실 것이고, 분명히 이렇게 말씀하실 것이다 : « 눈 가리고 아웅하기 식의 정책이나, 보여주기 식의 행정은 이제 그만 접어라. 힘 센 이웃나라, 먼 나라 눈치, 코치 보면서, 오히려 그들에게 더 자발적으로 갖다 바치려고 하고, 힘 없는 백성 등쳐 먹고, 그들의 피눈물을 빨려는 작태 stop해라. 유통 구조 개선하고, 우리농 살리기 운동, 식량 주권을 회복하기 위한 운동들,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운동에 대대적인 지지를 보내라. 그리고 더 이상 현실에 마지못해 복종하거나, 자발적으로 복종하거나 간에, 그런 복종하지 말아라. »

           이 나라 이 땅의 백성은 지금 이런 말을 해주고, 그 말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목자를 갈망하고 있다. 그 목자는 언제 올까? 백성을 돌보아 줄 목자들, 오늘 제 1독서에서 예레미아 예언자가 말하는 « 살아 남은 양들이 더 이상 두려워 하거나, 당황하지 않는 목자들, 양들을 하나도 잃어버리지 않는 목자들 »(예레 23,3-4 참조)은 언제 올까 ? 예레미아 예언자는 우리에게 희망을 가지라고 말한다 : « 보라, 그 날이 온다 »(예레 23, 5)고 말이다.

           그 날이 언제일까? 이 어둡고, 힘든 불통의 시대, 그러나 « 그날 »은 반드시 올 것임을 희망하면서 사는 삶, 지금은 희망이야말로 신앙의 또 다른 이름이라는 사실에 참으로 가슴이 미어진다. 이렇게 가슴이 미어지도록 슬프기 그지없는 현실은 « 가엾은 마음 »으로 미어지는 가슴들을 부둥켜 안으며 오시는 하느님의 아드님을 보여 주어야 하는 교회에 채찍질로 다가온다. 더욱 더 깨어 있으라고 더욱 더 하느님께 매달리라고, 더욱 더 내어주라고, 더욱 더 그분을 닮으라고 하는 회초리로 다가온다.   연중 제 16주일 농민주일에 들었던 제1독서와 2독서 그리고 복음은 나에게 이렇게 다가온다. 
 
 여러분에게는 오늘 독서와 복음 말씀이 어떻게 다가오고 있는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2024년 8월 8일 목요일 성 도미니코 사제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203 2024년 8월 7일 수요일 엄익성 레오 장례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3
202 2024년 8월 6일 화요일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201 2024년 8월 5일 연중 제18주간 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200 2024년 8월 4일 연중 제18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199 2024년 8월 3일 토요일 성모 신심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3
198 2024년 8월 2일 연중 제17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197 2024년 8월 1일 목요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학자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196 2024년 7월 29일 월요일 성녀 마르타와 성녀 마리아와 성 라자로 기념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195 2024년 7월 28일 연중 제17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194 2024년 7월 26일 금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기념일 미사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0
193 2024년 7월 25일 목요일 성 야고보 사도 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9.10 1
192 2024년 7월 24일 연중 제16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15
191 2024년 7월 23일 연중 제16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12
190 2024년 7월 22일 월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7
» 2024년 7월 21일 연중 제16주일 농민주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14
188 2024년 7월 19일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6
187 2024년 7월 18일 연중 제15주간 목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1
186 2024년 7월 17일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1
185 2024년 7월 16일 연중 제15주간 화요일 미사 강론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2024.07.25 1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