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814호 2024. 5. 26 
글쓴이 이원용 신부 
하느님 사랑의 환대와 시노드적인 경청
 
 

이원용 빅토리노 신부
청소년사목국장

 
   안녕하십니까? 청소년 주일을 맞이해서 환대와 경청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나누고 싶습니다.
 
   환대(Hospitalitas)는 고대 로마 시대에서부터 최고의 미덕 중 하나였고, 여행자를 환대하는 관습으로 자리잡혀 있었습니다. 호텔(Hotel)과 병원(Hospital)이라는 말도 모두 이 말에서 유래합니다. 환대는 성경에서도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는 구약의 아브라함과 세 천사(창세 18,1-8 참조) 장면에서 아브라함이 나그네를 환대하는 모습에서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먼저 다가감’입니다. 아브라함은 나그네가 구걸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아도 되도록 먼저 따뜻하게 다가가서 그들을 맞이했습니다. 두 번째는 ‘무조건적’인 환대입니다. 아브라함은 보상을 기대하지 않고 조건없이 그들을 향해 다가갔습니다. 아브라함이 이렇게 그들을 환대한 이유는 바로 모두가 하느님의 사랑을 받는 이들이기 때문입니다. 신앙의 관점에서 환대를 받는 것은 하느님의 사랑을 받는 모든 이의 권리이자, 환대를 베푸는 것은 하느님의 사랑을 받는 이를 대하는 이들의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신약성경에서는 환대가 예수님의 삶과 사랑의 표현입니다. 예수님은 복음을 전하기 위해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진 사회의 모든 계층 사람들을 찾아 가르치시면서 포용적 제자공동체를 만드셨습니다. 예수님은 그 누구도 배제하지 않으셨으며 그중에서도 특별히 소외된 이웃을 환대하셨습니다. “너희가 내 형제들인 이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 준 것이다.”(마태 25,40)라는 말씀처럼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 대한 환대는 그들 안에 계신 예수님을 대접하는 영적인 환대가 됩니다.
 
   한편 경청은 하느님의 백성이 함께 걸어가는 순례의 여정을 가리키는 시노달리타스(Synodalitas)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계주교시노드를 준비하면서 본격적으로 부각된 이 여정은 하느님 백성 안에서 말씀하시는 성령의 소리를 듣고 식별하며 따라가기 위한 것입니다. 세례받은 모든 이는 하느님의 성령을 지니고 있으며 그래서 모두가 능동적으로 복음을 전하는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청년들 안에, 그리고 기성세대 신자들 안에서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소리를 듣기 위해 기도와 함께 귀를 기울이는 것이 바로 시노드적인 경청입니다. 이러한 경청이 잘 되었을 때 하느님께서 우리 교회 청소년·청년들에게 무엇을 바라시는지를 잘 알아들을 수 있을 것이며, 또 내년에 우리가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체험해야 할 것인지도 명확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17호 2024. 6. 16  정화된 영혼을 얻으며 류선희 크리스티나 
2816호 2024. 6. 9  작은 노력으로 지구를 구할 수 있습니다 우세민 윤일 요한 
2815호 2024. 6. 2  천국에서 별처럼 빛나게 하소서 박서현 로사리아 
2814호 2024. 5. 26  하느님 사랑의 환대와 시노드적인 경청 이원용 신부 
2813호 2024. 5. 19  인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이영훈 신부 
2811호 2024. 5. 5  라파엘라, 교사가 되다 허수진 라파엘라 
2810호 2024. 4. 28  나를 찾아오신 때 최옥 마르타 
2809호 2024. 4. 21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1차 성소 주일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808호 2024. 4. 14  “평화가 너희와 함께!” 하창식 프란치스코 
2807호 2024. 4. 7  나의 행복 리스트 한미현 에스텔 
2806호 2024. 3. 31  무덤을 허물고 일어나 탁은수 베드로 
2804호 2024. 3. 17  뿌리 찾기와 순교자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803호 2024. 3. 10  참 삶의 길 윤경일 아오스딩 
2802호 2024. 3. 3  나에게 새로운 삶을 주신 분 유효정 마리스텔라 
2801호 2024. 2. 25  일상 속 작은 실천 김도아 프란체스카 
2799호 2024. 2. 11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는 인간의 몸처럼 손주희 레지나 
2798호 2024. 2. 10  배우고, 배운 것을 버리고, 새로 배우자! 원성현 스테파노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795호 2024. 1. 21  연중의 삶 속에서 강은희 헬레나 
2794호 2024. 1. 14  새 사제 모토 및 감사인사 file 가톨릭부산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