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이전

2024년 4월 12일 부활 제2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by 김해_홍보분과베네딕도 posted May 03,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4년 4월 12일 부활 제2주간 금요일 미사 강론
천주교 부산교구 김해성당 이균태 안드레아


        오늘 복음을 묵상하면서 나는 예수님보다는 예수님의 제자들 특히 필립보와 안드레아, 그리고 보리빵 다섯 개를 안드레아에게 가져다 주었던 한 소년에게 내 시선이 더 끌린다. 필립보는 많은 군중을 먹여야 한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놓고 « 도저히 가망이 없습니다.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습니다 »라는 식의 태도를 보인다. 안드레아는 필립보보다는 조금 더 적극적이긴 하지만, 오십보 백보다. 안드레아는 예수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 « 여기 보리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아이가 있습니다만, 저렇게 많은 사람에게 이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 ». 이 두 제자들에 반해 소년은 자기가 가지고 있던 먹을 것을 모두 다 내어 놓았다. 보리빵은 예수 시대에 가장 가난한 이들이 먹는 음식이었다.

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가운데 보리빵 5개와 물고기 2마리를 내어놓았던 이름 모를 소년을 상상하노라면, 10년 전 세월호에 탑승했던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이 오버랩된다. 어쩌면 똑같아도 이리 똑같을까? 어른들 먼저 구해야 한다고, 나이 많은 할아버지들, 할머니들에게 생명줄을 양보하고, 모자라는 구명 자켓마저도 친구에게 자기 것 입으라고 내어준 그 아이들이었다. 복음서에는 그 소년에 대해서 더 이상의 언급이 없지만, 분명히 예수께서는 보리빵 5개와 물고기 2마리를 가지고 온 소년을 축복하셨을 것이다. 그 소년을 닮은 단원고등학교 학생들도 분명 예수께서는 축복하실 것이다.


        사랑하는 김해성당 형제, 자매 여러분,

        세상 사람들은 말한다. 어줍잖은 동정심이 가난한 사람들을 더욱 더 가난하게 하고, 세상일을 더 망친다고. 잘난 사람들은 ‘복지 포퓰리즘’이라는 말까지도 한다. 그러나 그렇게 말하는 그들에게 되묻고 싶다. 얼마나 사람들을 도와 줘 보았느냐고, 사람들을 도와주고 나서 그런 말이라도 하느냐고 말이다. 원칙과 법이라는 것이 무엇을 위해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냐고 말이다.

책상 앞에 앉아서 머리만 굴리면, 결코 사람을 알 수 없다. 사람은 만나야 하고, 시간과 공간을 함께 공유해 보아야 조금씩 알아간다. 나누면, 나눌수록 없는 사람들은 더 달라고, 더 내놓으라고 말하는 뻔뻔함을 키우는 것이 아니다. 나눔은 우리들에게 우리보다 더 못해 보이는 사람들을 향하게 한다. 그리고 실제로 나눔을 통해서 우리가 배우는 것은 우리보다 더 못해 보이는 사람들이 결코 우리보다 못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그 사람들도 우리와 똑같이 참으로 소중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사실, 그렇게 하도록 창조된 것이 인간이다.

평생을 살아도 사랑이 무엇인지도 알지 못하는 사람들, 알려고 하지도 않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인데, 10년 전 단원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사랑을 온몸으로 실천했다. 사랑이라는 진리를 몸소 보여 주었던 이 학생들에게 참으로 미안하고, 참으로 부끄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