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65호 2016.01.17 
글쓴이 홍성민 신부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parvus@hanmail.net

  모든 상황을 내가 원하는 대로 이끌어 나갈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기에 짜증이 나는 것은 모든 삶에 일부분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짜증은 아무리 없애려고 해도 그럴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받아들이라고 하는 것은 짜증이라는 감정이 아니라, 짜증이 나게 하는 상황과 그런 상황을 바꾸지 못하는 나 자신입니다.
  사실 그 누구도 자신이 원하는 대로만 살아갈 수 없고, 다른 사람을 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으며, 앞으로 일어날 모든 일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처음부터 내 힘으로 안 되는 것인데, 많은 경우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착각합니다. 사실 그것은 교만입니다.
  단주 모임인 AA 회원들이 바치는‘평온함을 구하는 기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단주 모임에서의 기도라면,“술을 끊게 해 주십시오.”라는 말이 들어갈 것 같지만, 아닙니다.
“하느님, 제가 저의 힘으로 바꿀 수 있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을 구분하는 지혜를 주소서. 그래서 바꿀 수 있는 것은 행하는 용기를 주시고, 바꿀 수 없는 것은 받아들이는 평온함을 주소서.”
  많은 경우 우리는 아무리 화내고, 불안해하고, 짜증을 내어도 어쩔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그래서 지금 당장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는 부분을 오히려 놓칩니다. AA의 기도에서처럼 하느님께 내 힘으로 바꿀 수 있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 그 두 가지를 구분하는 지혜를 청하면 좋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56 2313호 2015.02.01  성경을 보면 하느님이 누군가를 선택하시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하느님은 왜 누구는 선택하시고, 누구는 선택하지 않으시는가요? 사람을 차별하시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134
155 2312호 2015.01.25  성령 묵상회에 갔다 왔는데 성령을 받으면 어떨 땐 악마가 보인다고 하는데 저에게 악마가 보일까 무섭습니다. 그리고 간혹 잘못될 경우, 성령이 내리기는커녕 악마에게 씌기도 한다고 하던데요. 교회에 구마경이라는 것이 있다던데 필요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권순호 신부  198
154 2311호 2015.01.18  밖으로 보이는 것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옷이나 가방, 신발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남들과 비교를 하고 부러워합니다. 신앙인이라면 이런 것쯤은 무시하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잘 안됩니다. 홍경완 신부  71
153 2310호 2015.01.11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장재봉 신부  129
152 2309호 2015.01.04  사는 게 너무 바쁜 저에게 신앙은 또 하나의 부담입니다. 안 그래도 바쁘고 힘든 삶인데 성당에 오면 열심히 기도하지 못하는 저 자신에 대해 죄책감이 들고, 성당 안에서 하게 되는 활동들에서도 부담을 느낍니다. 어쩌면 좋을까요? 홍성민 신부  176
151 2307호 2014.12.28  저는 결혼한 지 10년이 지난 40대의 사람입니다. 결혼 초기엔 부부가 서로 없으면 죽고 못 살 것 같았는데, 살면 살수록 서로 갈등과 미움만 심해지는 듯합니다. 요즘엔 이렇게 고통스럽게 함께 살 바에 차라리 헤어지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권순호 신부  157
150 2305호 2014.12.21  좀 더 가지고 싶고 채우고 싶은 욕심이 자꾸 생깁니다. 남들과 비교하게 되고, 내가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허전한데, 그게 신앙인의 자세는 아닌 듯싶어 맘이 편치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146
149 2304호 2014.12.14  타 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 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81
148 2303호 2014.12.07  저 자신의 모습이 못나 보여서 우울한 기분이 듭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데, 제 처지랑 비교하다 보니 오히려 배가 아픕니다. 그리고 이런 제 모습이 더 못나 보여서 더 우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43
147 2302호 2014.11.30  미사 등 천주교의 전례는 정말 지루하면서 시대에 뒤떨어진 것 같습니다. 천주교 예식에 언제나 반복되는 형식적인 것은 버리고, 좀 더 흥미롭고 재미있고 감동적인 내용을 더 한다면 젊은 세대가 더 많이 천주교에 오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76
146 2301호 2014.11.23  그러지 말자고 하면서도 하느님의 존재를 자꾸 의심하게 됩니다. 의심하는 것이 죄라는 생각이 들어 괴롭기까지 합니다. 하느님을 의심하는 것이 정말 죄가 되나요? 홍경완 신부  203
145 2300호 2014.11.16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장재봉 신부  111
144 2299호 2014.11.09  술을 먹은 다음 날 아침에 자꾸 짜증이 나고, 후회하는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술자리말고는 의욕이 없고, 기분이 우울합니다. 홍성민 신부  261
143 2298호 2014.11.02  예수님이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신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과학이 실제로 우리 인간의 무병장수의 꿈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 영원한 생명을 인간에 가져다주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7
142 2297호 2014.10.26  대학생 아들에게 왜 냉담하냐고 물었더니, 교리를 합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믿어야 할 가치를 못 찾겠다고 합니다. 어떻게 답을 해 주어야 할지 난감합니다. 홍경완 신부  68
141 2296호 2014.10.19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62
140 2295호 2014.10.12  아내가 SNS에 너무 많이 집착합니다. 솔직히 저는 저의 일상이 공개되는 것이 유쾌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반응에는 신경을 쓰면서 정작 남편인 저에게는 소홀한 아내에게 섭섭함도 느낍니다. 홍성민 신부  153
139 2294호 2014.10.05.  어떤 신부님들은 왜 경제나 가난이나 정치 문제에 대해 발언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정치, 경제 문제는 정치인이나 경제인들에게 맡기고, 교회는 그저 기도와 신앙, 십계명과 같은 종교에 관한 것만을 가르쳐야 하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21
138 2293호 2014.09.28  딸이 갑자기 물어왔습니다.‘엄마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이야?’‘어떤 하느님이긴, 그냥 하느님이지’라고 서툴게 답하고 말았지만 실은 대답을 못 했습니다. 내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인가요? 홍경완 신부  90
137 2292호 2014.09.21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장재봉 신부  12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