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와 일치

가톨릭부산 2023.06.21 11:57 조회 수 : 17

호수 2763호 2023. 6. 25 
글쓴이 이성균 신부 

화해와 일치




 
이성균 신부
금정성당 성사담당


 
   어느 봄날 그 귀하다는 ‘아이들 노는 소리’를 듣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아이들은 여전히 명랑하고 활달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언덕길 도로엔 성당도 있지만 음식점들도 모여 있어서 때론 기대하지 않았던 소리도 크게 들립니다. 딩동, 딩동 “ㅇㅇㅇ ㅇㅇ 주문!” “ㅇㅇㅇ 주문! ”  “… 주문!” 몇 달 만에 제 귀에도 익숙해졌으니 저보다 이곳에 오래 산 아이들에겐 너무도 익숙한 소리겠지요. 명랑한 아이들이 놀이의 추임새처럼 다 같이 외칩니다. “ㅇㅇㅇ ㅇㅇ 주문!”
 
   어린 시절을 떠올립니다. 그때도 아이들은 활달했고 온갖 놀이와 더불어 가끔은 함께 노래도 불렀습니다. 동요도 생각나지만 학교에서 자주 가르친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로 시작하는 노래를 부르던 장면도 기억납니다. 무슨 거창한 애국심의 발로는 아니었지만 그저 익숙한 노래였고, 괜히 그래야만 할 것 같은 비장함도 고명처럼 올라 있는 노래였습니다.
 
   ‘마음이 하나 됨’ 혹은 ‘같은 생각을 가짐’을 뜻하는 ομονοια(호모노이아)란 말이 ‘일치’로 번역된 집회서의 한 부분(25,1)을 필사하면서 화해와 일치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별개의 현실이 아니라 동시적이고 상호 인정을 전제로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생각의 결이 같아야 화해를 모색하게 되고, 화해할 자세가 되어 있어야 일치에 도달할 가능성이 커지겠지요.
 
   이젠 드디어 통일의 길에 들어서는가 싶은 때도 있었지만 요즘 다시 ‘힘에는 압도적인 더 큰 힘으로’를 외칩니다. 남북이 공멸하고 긴 유배를 당한 후에야 한 민족으로 남아 한 나라로 돌아온 이스라엘의 불행한 역사를 생각하며 언젠가 이루어질 통일의 날을 ‘희망이 없어도 희망’(로마 4,18)합니다. 진정한 평화를 추구하는 인물이 세워져 통일을 이룰 때까지 남북이 공존할 수 있도록 ‘평화의 군왕’(이사 9,5)이신 메시아께서 함께 해 주시길 기도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004호 2009.08.02  생명의 빵 염봉덕 신부 
2005호 2009.08.09  종두득두(種豆得豆) 곽길섭 신부 
2006호 2009.08.15  어머니 마리아, 주님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이영묵 신부 
2007호 2009.08.16  나는 밥이 되고 싶습니다. 차공명 신부 
2008호 2009.08.23  주님, 저희가 누구에게 가겠습니까? 김강정 신부 
2009호 2009.08.27  손을 깨끗이 자주 씻자?? 오용환 신부 
2010호 2009.09.06  에파타 신진수 신부 
2011호 2009.09.11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이세형 신부 
2012호 2009.09.17  감사합니다. 도정호 신부 
2013호 2009.09.24  손과 발과 눈이 죄짓게 하거든… 신동원 신부 
2014호 2009.10.01  천국 맛보기 김영곤 신부 
2015호 2009.10.01  교회의 참다운 기초 강병규 신부 
2016호 2009.10.09  내가 가진 것을 내어놓는다는 것 강헌철 신부 
2017호 2009.10.18  너희는 가서… 최재현 신부 
2018호 2009.10.22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박갑조 신부 
2019호 2009.10.29  행복은 소유가 아닌, 존재 그 자체 박근범 신부 
2020년 1월 19일 연중 제2주일  하느님의 어린양 김두윤 신부 
2020호 2009.11.05  가난한 과부의 헌금 장훈철 신부 
2021호 2009.11.12  이 순간 최선을 다하자 전열 신부 
2022호 2009.11.19  그리스도왕 대축일 김동환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