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교의 길

가톨릭부산 2023.06.14 11:11 조회 수 : 12

호수 2762호 2023. 6. 18 
글쓴이 조광우 신부 
친교의 길

 

 
조광우 신부
노동사목 부본부장
cathlabor@naver.com


 
   여러 본당에서 어버이날 맞이 행사가 이루어지던 지난 5월 7일, 저희 노동사목에서도 노동자의 날을 맞이하여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체육대회가 있었습니다. 이 행사에는 필리피노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부산 영어 공동체와 양산 영어 공동체, 부산 동티모르 공동체가 참여하여 90여 명이 모였습니다. 또한 외부에서 몇몇 봉사자들이 참여하시어 큰 도움을 주셨지요.
 
   지난 코로나 기간은 모두에게 힘든 시간이었지만 이주노동자들에게는 더욱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사회적으로 외국인들을 향한 적대적 시각이 강화된 시기였고, 그 덕분에 신앙생활 역시 한국인 공동체보다 더 조심하고 더 자제해야 했지요. 긴 시간의 억눌림이 풀린 탓인지 이주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은 피곤함에도 불구하고 큰 열정으로 체육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특히 젊은 남성들이 많았던 동티모르 친구들은 체육관을 뜨겁게 달굴 만큼 열심이었지요.
 
   서로 언어가 통하지 않아,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직원들도, 중간에서 도와주시는 봉사자들도, 그리고 참여하는 이주노동자들도 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조금씩 시간을 더 투자하여 설명하고, 손짓 발짓과 시범을 섞어가면서 소통하였습니다. 외국어가 되지 않는 봉사자들을 걱정하였지만, 언어를 넘어서는 인간적 소통으로 교류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소통은 언어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소통 의지와 마음의 문제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우리 사회를 차갑게 얼리고 있는 중요한 주제가 소통 악화와 혐오의 문제이지요. 이주민들은 누구보다 그 문제에서 최약자의 자리에 있습니다. 대다수 사람들이 이들을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여기지 않곤 하지요. 하지만 우리 사회를 차갑게 얼리는 그 주제의 해답을 우리는 오히려 이들에게서 발견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겪는 세대 간, 성별 간 차이를 넘어서는 문화적, 인종적 차이점을 이유로 혐오를 받으면서도 혐오로 대응하지 않는 노력, 언어를 통한 교류가 어려우면서도 소통을 이루어 내려는 노력, 본인들이 겪은 부당함에 대한 분노를 한국인 전체에게 대입시키지 않는 노력, 이 모든 것들이 이 땅에서 살아가며 그들이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노력이니 말입니다. 
 
   이들을 멀리서 찾아온 우리의 형제자매로 맞이하며, 그들에게서 우리의 미래를 위한 지혜를 찾아볼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65호 2023. 7. 9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최순덕 세실리아 
2635호 2021.01.24  하느님 세상의 미래는 아이들! 최범진 헬레나 
2609호 2020.08.09  하느님의 바람 최고은 소피아 
2380호 2016.05.01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우리 성당 주일학교를 소개합니다 청소년사목국 
2390호 2016.07.10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부산교구 청소년사목국의 청년들 청소년사목국 
2653호 2021.05.30  지구 청소년·청년 위원회(지청위) file 청소년사목국 
2426호 2017.03.19  “의로움의 열매는 평화를 이루는 이들을 위하여 평화 속에서 심어집니다.”(야고 3, 18) 차광준 신부 
2446호 2017.08.06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차광준 신부 
2474호 2018.02.04  “다른 이웃 고을들을 찾아가자. 그곳에도 내가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마르 1,38) 차광준 신부 
2495호 2018.07.01  “불법체류자? 불법인 사람은 없습니다.” 차광준 신부 
2514호 2018.11.11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차광준 신부 
2345호 2015.09.13  낯선 곳에서 산다는 것 지은주 아델라 
2409호 2016.11.20  주님, 제가 여기 있습니다. 조원근 마르티노 
2509호 2018.10.07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조수선 안나 
2687호 2022. 1. 9  예수님 꽃 피우기 조수선 안나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298호 2014.11.02  정체성 찾기 조삼제 F.하비에르 
2719호 2022. 8. 21  “누가 우리의 이웃일까요?” 조광우 신부 
2762호 2023. 6. 18  친교의 길 조광우 신부 
2442호 2017.07.09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정효모 베드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