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32호 2022. 11. 20 
글쓴이 서진영 신부 

신이시여 왕을 보호하소서!(God Save the King)

 
서진영 신부 / 다대성당 주임

 
   지난 9월 엘리자베스 2세의 장례식이 있었습니다. 여왕을 떠나보내며 왕실 찬가 “God Save the King”을 부르던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그에게 승리와 행복과 영광을 주시고, 오랫동안 우리를 다스리게 하소서. 그에게 우리의 법을 지키게 하시고, 우리로 하여금 항상 마음으로 소리 내어 노래하게 하소서. 신이시여, 왕을 보호하소서!”
 
   이 노랫말 때문인지 70년을 함께한 여왕을 보내는 사람들의 시선은 아련했습니다. 이 시선으로 왕이라는 존재를 봅니다. 의지가 되어주는, 질서를 지키는, 평화로 이끌어야 하는, 그래서 늘 신께서 함께하셔야 하는 분이 ‘왕’이시겠지요. 가장 힘센 사람이지만, 더 큰 분의 도움을 청해야 하는 부족함이 왕이 가진 힘의 균형을 잡아 준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킹-달러’라고 불리는 돈에도 “In God We Trust”(우리는 신을 믿는다)라는 말이 붙어 있습니다.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왕’ 대축일입니다. 무엇으로 그리스도(기름 부음 받은 이)를 설명해야 할까요? 가장 적절한 말이 ‘왕’일 겁니다. 멋진 사진을 보며 그림이라 하고, 멋진 그림은 사진 같다고 하는 우리입니다. 온전히 담아낼 수 없기에 그나마 가장 가까운 표현을 빌리는 것이겠지요. 
 
   가장 힘센 사람이라는 ‘왕’(王)이라는 단어는 도끼에서 유래했답니다. ‘왕’(한자)이든, ‘킹’(영어)이든, ‘쾨니히’(독어), ‘렉스’(라틴어), ‘멜렉’(히브리어), ‘라자’(동남아어)이든 ‘왕’이라는 말은 도끼, 낫, 칼 등의 무기에서 유래했답니다. ‘언제든지 나의 목을 벨 수 있는 자’, 나의 생사를 정할 수 있는 자라는 의미가 ‘왕’입니다.  
 
   이 무서운 힘이 공정하지 못할 때 불행과 억압이 따랐고, 올바를 때면 평화와 행복이 왔습니다. 누구나 기꺼이 온 마음으로 찬양하게 만드는 힘이 ‘왕의 권위’고, 이 ‘왕의 다스림’(나라)을 지켜 주시는 분은 더 크신 분, 하느님(신)이십니다. 세상을 구원하러 오신 분(saver)의 승리와 영광 그리고 다스림 속에 살아갑시다.
 
‘그리스도 왕’이시여, 저희를 보호(구원)하소서.
호수 제목 글쓴이
2044호 2010.04.11  의심쟁이 토마스와 주님의 자비 김영호 신부 
2045호 2010.04.18  부활에 대한 체험과 믿음 김평겸 신부 
2046호 2010.04.25  일상 안에서 나를 부르시는 하느님 노영찬 신부 
2047호 2010.05.02  부활시기에 예수님께서 찬미 공동체인 교회에 주시는 새로운 계명 김석중 신부 
2048호 2010.05.09  주님의 평화를 우리의 것으로 누리는 행복한 신앙의 삶 이기정 신부 
2049호 2010.05.16  승천하시어 우리와 함께 계시는 주님 이찬우 신부 
2050호 2010.05.23  새롭게 하소서! 김영곤 신부 
2051호 2010.05.30  진리는 몸으로 말한다 박용조 신부 
2052호 2010.06.06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 이기환 신부 
2053호 2010.06.13  교회가 거룩해지려면 … 심순보 신부 
2054호 2010.06.20  재즈와 클래식 이택면 신부 
2056호 2010.07.04  쟁기를 잡고 뒤를 돌아보는 자 신요안 신부 
2056호 2010.07.04  순교자 성인의 삶을 본받아 예정출 신부 
2057호 2010.07.11  생각은 그만, 이제 실천할 때 이병주 신부 
2058호 2010.07.18  빼빼로에 가려진 농민 이동한 신부 
2059호 2010.07.25  기도의 본질 오창일 신부 
2059호 2012.05.06  열매 맺음 장용진 신부 
2060호 2010.08.01  하느님 앞에 부유한 사람 박상대 신부 
2061호 2010.08.08  코페르니쿠스의 대전환 조성제 신부 
2062호 2010.08.15  희망 주신 분 윤용선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