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31호 2022. 11. 13 
글쓴이 프란치스코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 담화(요약)
“그리스도께서는 여러분을 위하여 가난하게 되셨습니다.”
(2코린 8,9 참조)
 
  
    ‘그리스도께서는 여러분을 위하여 가난하게 되셨습니다.’(2코린 8,9 참조) 바오로 사도는 코린토의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 이렇게 말하면서, 궁핍한 형제자매들에게 연대를 보여 주는 그들의 노력을 격려합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도 벌어졌습니다. 비극적 시나리오들이 되풀이되고 있으며 평화를 외치는 인류의 숨통을 조이고 있습니다. 무분별한 전쟁이 낳는 빈곤이 얼마나 극심합니까! 눈을 돌리는 곳마다, 폭력이 무방비 상태의 힘없는 이들을 어떻게 타격하는지 우리는 볼 수 있습니다. 수많은 여성과 어린이와 노인이 이웃 나라의 난민들처럼 피난처를 찾아 안전을 확보하고자 폭격의 위험을 무릅쓰도록 내몰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들 안에서 이성은 그 빛을 잃어가고 결국 이미 너무나 많은 가난한 사람들에 보태어질 뿐입니다. 우리는 이 상황에 어떻게 합당하게 응답할 수 있겠습니까?
 
   이러한 충돌 속에서 제6차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거행합니다. 우리는 “부유하시면서도 (우리를) 위하여 가난하게 되시어 (우리가) 그 가난으로 부유하게 되도록”(2코린 8,9 참조) 하신 예수님께 우리의 시선을 고정하라는 바오로 사도의 권고를 성찰하도록 요청받습니다. 이 시기에 저는 전쟁으로 발생한 난민들을 환대하는 후한 인심에 대하여 생각해 봅니다. 가정들은 다른 가정들에 자리를 마련해 주려고 자기 집 문을 열어 주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갈등이 지속될수록 결과는 힘겨운 짐이 됩니다. 지금이 바로 우리가 기운을 잃지 않고 처음에 가졌던 그 열의를 새롭게 하여야 하는 때입니다. 우리는 변함없는 책임감으로 우리가 시작한 일을 마무리 지어야 합니다.?
 
   연대란 우리가 가진 것을 없는 이들과 나누는 것입니다. 시민 사회의 일원으로 자유와 책임, 형제애와 연대의 가치를 계속해서 지켜 갑시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언제나 사랑과 신앙과 희망을 우리 삶과 행동의 바탕으로 삼도록 합시다.?가난한 이들과 관련한 경우 중요한 것은 참여하여 신앙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그 누구도 필요한 것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누군가를 구하는 행동주의가 아닙니다. 무기력함을 떨쳐내도록 도와주는 가난한 이들에게 다가가게 하는 관심입니다. 
 
   바오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을 상기시키며 그분 메시지를 확실히 하고자 합니다. 우리를 해방시키는 가난은 본질에만 집중하는 책임 있는 결정으로부터 비롯됩니다. 가난한 이들과의 만남은 걱정과 두려움을 없애 주고, 거저 받는 참사랑에 이르게 해 줍니다. 올해 세계 가난한 이의 날 주제로 선택한 바오로 사도의 말은 우리 신앙생활의 이 위대한 역설을 보여 줍니다. 그리스도의 가난이 우리를 부유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교회가 이를 전하고 증언해 온 것은, 하느님께서 예수님을 통하여 이 길을 따르기로 선택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가난하게 되셨기 때문에 우리 자신의 삶은 변화되었습니다. 주님께서 지니신 보물은 그분의 사랑입니다. 사랑 때문에 그분께서는 영광을 벗으시고 인간 조건을 취하셨습니다. 사랑 때문에 그분께서는, 모든 이가 필요한 것을 얻고 영원한 생명을 위한 양식을 찾을 수 있도록 “생명의 빵”(요한 6,35)이 되셨습니다. 생명이 죽음을 이기고 존엄이 불의로부터 구해지기를 바란다면, 우리는 사랑으로 우리 삶을 함께 나누고 가장 작은 이들과 자기 삶의 빵을 나누면서, 그리스도의 가난의 길을 따라야 합니다. 이것이 평등을 이루는 길, 가난한 이들을 비참에서 벗어나게 하고 부유한 이들을 허영에서 벗어나게 하며 그들 모두를 절망에서 벗어나게 하는 길입니다.
 
   2022년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이 우리에게 은총의 때가 되기를 빕니다. 이날 우리가 개인으로 그리고 공동으로 양심 성찰을 하고, 우리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이 우리의 충실한 친구가 되는지도 자문하여 볼 수 있기를 빕니다.

 
로마 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프란치스코
호수 제목 글쓴이
2004호 2009.08.02  원주민(아이따스)들의 삶 file 김 루시아 수녀 
2005호 2009.08.09  안창마을 이야기 김양희 레지나 
2007호 2009.08.16  내비게이션 작동 중? 탁은수 베드로 
2008호 2009.08.23  어떻게 할 것인가? 박주미 
2009호 2009.08.27  특별한 인연 김루시아 수녀 
2010호 2009.09.06  노인 사목에 대해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2011호 2009.09.11  나 떠난 후 탁은수 베드로 
2012호 2009.09.20  순교자 대축일을 맞아… 김종일 
2013호 2009.09.27  어떤 결혼식 김 루시아 수녀 
2015호 2009.10.04  군인주일을 맞으며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2016호 2009.10.11  가을 타는 남자 탁은수 베드로 
2017호 2009.10.18  명절 보고서 이명순 막달레나 
2018호 2009.10.25  휴가와 태풍 김 루시아 수녀 
2019호 2009.11.01  그 눈물의 의미 김양희 레지나 
2020호 2009.11.08  노가리와 빨간 내복 탁은수 베드로 
2021호 2009.11.15  느리게 걷기 김욱래 아우구스티노 
2022호 2009.11.22  많은 것이 달라요 김 루시아 수녀 
2023호 2009.11.29  도보 성지 순례 하창식 프란치스코 
2024호 2009.12.06  왕따 루돌프 탁은수 베드로 
2025호 2009.12.13  나눔과 기다림 박주미 막달레나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