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가톨릭부산 2022.09.28 13:42 조회 수 : 144

호수 2725호 2022. 10. 2 
글쓴이 김상균 신부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김상균 신부 / 북양산성당 주임


 
   오늘 예수님께서는 “너희가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이 돌무화과나무더러 ‘뽑혀서 바다에 심겨라.’ 하더라도, 그것이 너희에게 복종할 것이다.”(루카 17,6)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서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는 것이, ‘작은 믿음’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겨자씨가 실제로는 모든 씨앗 중에 가장 작은 씨앗이 아닌데도, ‘작은 믿음’을 왜 ‘겨자씨 한 알’에 비유하셨을까요? 
 
   우리말에 ‘눈곱만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이 말을 찾아보면, ‘보잘것없이 썩 적거나 작다.’는 뜻이라고 나옵니다. 이와 비슷하게, 예수님 시대에는 ‘겨자씨만 하다.’는 말이 ‘가장 작은 것’ 또는 ‘가장 적은 양’을 가리키는 관용어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겨자씨 한 알만 하다’는 말씀을 우리말 ‘눈곱만하다.’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셨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겨자는 한해살이풀로 토양에 따라 3미터까지도 자란다고 합니다. 하지만 ‘겨자풀’이 아무리 크게 자란다 하여도 ‘돌무화과나무’와는 비교할 수 없이 크기가 작습니다. 심지어 ‘겨자풀’이 아니라 ‘겨자씨 한 알’과 ‘돌무화과나무’를 비교하시니 둘의 크기 차이는 엄청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께서는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으로 ‘돌무화과나무’를 바다에 옮겨 심을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아마도 믿음의 힘을 강조하시고자 크기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겨자씨와 돌무화과나무를 비유로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오늘 복음 말씀은 루카 복음서의 말씀인데요, 마태오 복음서에서는 ‘돌무화과나무’ 대신에 ‘산’과 비교하여 말씀하셨습니다.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이 산더러 ‘여기서 저기로 옮겨 가라.’ 하더라도 그대로 옮겨 갈 것이다.”(마태 17,20) 
 
   예수님께서는 돌무화과나무이든 산이든, 작은 믿음만 있어도 큰 것을 옮길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작은 믿음의 힘으로도 엄청나게 큰일을, 곧 기적 같은 일을 해낼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오늘 예수님의 이 말씀이, 믿음이 부족한 우리를 격려해 주시는 말씀으로 들립니다. “믿음이 부족해도 내가 도와줄 테니 넌 해 낼 수 있어!” 여러분도 삶 안에서, 믿음의 놀라운 힘을 발휘해 보시길 바랍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36호 2022. 12. 18  불안과 확신 file 이창주 신부 
2735호 2022. 12. 11  “광야”, “하느님을 만나는 곳” file 김홍민 신부 
2734호 2022. 12. 4  메시아의 시대 file 윤정현 신부 
2733호 2022. 11. 27  무엇을, 어떻게 기다리십니까? file 엄종건 신부 
2732호 2022. 11. 20  신이시여 왕을 보호하소서!(God Save the King) file 서진영 신부 
2731호 2022. 11. 13  이름 file 김남수 신부 
2730호 2022. 11. 6  하느님의 백성 file 김재관 신부 
2729호 2022. 10. 30  자캐오야, 얼른 내려오너라. file 권순호 신부 
2728호 2022. 10. 23  은총의 삶, 초대의 삶 file 김두진 신부 
2727호 2022. 10. 16  기도의 시작- 아멘! file 민병국 신부 
2726호 2022. 10. 9  묵주기도, 우리 삶의 탁월한 이정표 file 권순도 신부 
2725호 2022. 10. 2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file 김상균 신부 
2724호 2022. 9. 25  “하느님의 사람이여, 영원한 생명을 차지하십시오.” 김종규 신부 
2723호 2022. 9. 18  천국을 일군 사람들 file 장현우 신부 
2722호 2022. 9. 11  찾음, 기다림, 받아들임 file 강지훈 신부 
2721호 2022. 9. 4  하느님 나라는 치열한? 계산된 포기의 결과이다. file 이재현 신부 
2720호 2022. 8. 28  밥상머리 교육 file 김영훈 신부 
2719호 2022. 8. 21  구원으로 가는 좁은 문 file 김태균 신부 
2718호 2022. 8. 15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성모님 file 박정용 신부 
2718호 2022. 8. 14  기도와 말씀, 사랑의 불 file 이재석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