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가톨릭부산 2022.09.28 13:42 조회 수 : 144

호수 2725호 2022. 10. 2 
글쓴이 김상균 신부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김상균 신부 / 북양산성당 주임


 
   오늘 예수님께서는 “너희가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이 돌무화과나무더러 ‘뽑혀서 바다에 심겨라.’ 하더라도, 그것이 너희에게 복종할 것이다.”(루카 17,6)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서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는 것이, ‘작은 믿음’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겨자씨가 실제로는 모든 씨앗 중에 가장 작은 씨앗이 아닌데도, ‘작은 믿음’을 왜 ‘겨자씨 한 알’에 비유하셨을까요? 
 
   우리말에 ‘눈곱만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이 말을 찾아보면, ‘보잘것없이 썩 적거나 작다.’는 뜻이라고 나옵니다. 이와 비슷하게, 예수님 시대에는 ‘겨자씨만 하다.’는 말이 ‘가장 작은 것’ 또는 ‘가장 적은 양’을 가리키는 관용어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겨자씨 한 알만 하다’는 말씀을 우리말 ‘눈곱만하다.’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셨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겨자는 한해살이풀로 토양에 따라 3미터까지도 자란다고 합니다. 하지만 ‘겨자풀’이 아무리 크게 자란다 하여도 ‘돌무화과나무’와는 비교할 수 없이 크기가 작습니다. 심지어 ‘겨자풀’이 아니라 ‘겨자씨 한 알’과 ‘돌무화과나무’를 비교하시니 둘의 크기 차이는 엄청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께서는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으로 ‘돌무화과나무’를 바다에 옮겨 심을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아마도 믿음의 힘을 강조하시고자 크기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겨자씨와 돌무화과나무를 비유로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오늘 복음 말씀은 루카 복음서의 말씀인데요, 마태오 복음서에서는 ‘돌무화과나무’ 대신에 ‘산’과 비교하여 말씀하셨습니다.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이 산더러 ‘여기서 저기로 옮겨 가라.’ 하더라도 그대로 옮겨 갈 것이다.”(마태 17,20) 
 
   예수님께서는 돌무화과나무이든 산이든, 작은 믿음만 있어도 큰 것을 옮길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작은 믿음의 힘으로도 엄청나게 큰일을, 곧 기적 같은 일을 해낼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오늘 예수님의 이 말씀이, 믿음이 부족한 우리를 격려해 주시는 말씀으로 들립니다. “믿음이 부족해도 내가 도와줄 테니 넌 해 낼 수 있어!” 여러분도 삶 안에서, 믿음의 놀라운 힘을 발휘해 보시길 바랍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804호 2024. 3. 17  영원한 생명으로 가는 길 file 김명선 신부 
2455호 2017.10.08  로사리오 성모님 file 김무웅 신부 
2618호 2020.10.11  텅빈 잔치 file 김무웅 신부 
2800호 2024. 2. 18  광야와 인생 file 김무웅 신부 
2310호 2015.01.10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성전이 된 우리 김병수 신부 
2711호 2022. 6. 26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file 김병수 신부 
2326호 2015.05.03  좋은 열매를 맺는 그리스도인 김상균 신부 
2534호 2019.03.17  탈출과 출발 file 김상균 신부 
2725호 2022. 10. 2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file 김상균 신부 
2038호 2010.02.28  고통과 희망 김상호 신부 
1288호 2012.11.18  하느님의 사람 김상호 신부 
2338호 2015.07.26  합심(合心) 김상호 신부 
2246호 2013.12.01  식별(識別) - 거룩한 숙제 김상효 신부 
2446호 2017.08.06  산에서 내려올 때에 file 김상효 신부 
2609호 2020.08.09  참 매력적인 한 인간 file 김상효 신부 
2047호 2010.05.02  부활시기에 예수님께서 찬미 공동체인 교회에 주시는 새로운 계명 김석중 신부 
2345호 2015.09.13  예수님의 여론 조사와 베드로 사도의 고백 김석중 신부 
2566호 2019.10.27  바리사이의 기도와 세리의 기도 file 김석중 신부 
2751호 2023. 4. 2  예루살렘 입성 - 수난과 부활의 파스카 여정 file 김석중 신부 
2081호 2010.12.19  “우리와 함께 계시는 하느님” 김성규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