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손과 자기비움

가톨릭부산 2022.05.25 11:34 조회 수 : 36

호수 2707호 2022. 5. 29 
글쓴이 김종남 신부 

겸손과 자기비움

 

 
김종남 신부 / 거제동성당 주임


 
   “내가 세상 끝 날까지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 28,20)
   예수님의 승천은 언제 어디서나 살아계시는 하느님 사랑을 체험하게 하신다. 그 체험은 모자라고 부족한 내 안에 예수님이 살아계시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고 사랑의 계명을 우리가 온전히 살아가게 한다. 왜냐하면 예수님의 승천은 하느님께서 인간을 사랑하시는 또 다른 표현이기 때문이다. 이 승천 사건은 거저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주님의 겸손과 자기비움을 통해 이루어진 사건이다. 
   예수님께서 태초에 아담과 하와의 원죄로 인해 하느님과 멀어졌던 인간을 다시금 연결시켜주셨다. 하느님과 인간을 이어주는 다리의 역할을 수행하신다. 그리고서는 당신은 뒤로 물러나신다. 자신의 공덕을 내세우려 하지 않으신다. 예수님께서는 그 역할로 만족하시고 더 욕심내지 않으시고 그냥 떠나신다. 대신 우리를 영원히 사랑하기 위해 성령께 그 자리를 내어드린다. 이같은 주님의 한없는 겸손과 자기비움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 사랑의 결실이 바로 성령인 것이다.
 
   세상의 어느 누가 자신의 자리를 이처럼 선뜻 내어줄 수 있겠는가? 권력의 최상위를 차지하려고 누군가를 짓이겨야 하고, 한 번 쥐어진 권력을 절대 내려놓지 않으려고 아귀다툼하는 처절한 세상이다. 이처럼 세상은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발악하지만 예수님은 그 자리에 미련을 두지 않으시고 빈자리를 내어놓으신다. 일생을 사랑과 겸손의 한결같은 삶으로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을 세상에 보여주셨다. 우리도 예수님을 닮아 ‘희생과 자기비움’의 삶을 통해 세상에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을 전해야 한다. 내 것만을 꽉 움켜쥔 채 하느님의 사랑을 전할 수는 없다. 화목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희생이 필요하다. 한 사람의 일방적인 희생이 아니라 가정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가 자신의 것들을 비워낼 때 가능한 것이다. 서로의 약점을 참고 받아들이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우리가 살 때 가능한 것이다. 
 
   사랑을 위해 나 자신의 묵은 껍질을 벗는 아픔을 때로는 살아가야 한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자녀답게 살기 위해 끊임없이 우리 자신을 비우고, 그 빈 공간을 사랑의 열매인 성령으로 채워가는 것. 그것이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길임을 기억하자. 그것이 그리스도 당신께서 우리 안에 영원히 살아계심을 세상에 전하는 길임을 기억하자.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요한 13,34)
호수 제목 글쓴이
2297호 2014/10/26  사랑, 그 이중성에 대하여 천경훈 신부 
2295호 2014.10.12  하느님의 부르심에 늘 깨어 응답하는 삶 김태형 신부 
2280호 2014.07.06  “하느님께서 너희에게 보내시는 고통들을 참아 받겠느냐?” 김강정 신부 
2214호 2013.05.05  ‘배려’의 실천, ‘사랑’의 시작 김형근 신부 
2206호 2013.03.10  사랑, 기회를 주는 것 : 폐품인생을 명품인생으로 이병주 신부 
2200호 2013.01.27  구원사업에 나서신 예수님의 결의 이재만 신부 
2156호 2012.04.15  하느님의 선물 김두유 신부 
2151호 2012.03.11  십자가는 하느님의 사랑입니다. 장민호 신부 
2141호 2012.01.08  주님 공현(epiphania)의 의미는? 곽용승 신부 
2129호 2011.10.16  하느님의 것 곽길섭 신부 
2059호 2010.07.25  기도의 본질 오창일 신부 
2718호 2022. 8. 14  기도와 말씀, 사랑의 불 file 이재석 신부 
2707호 2022. 5. 29  겸손과 자기비움 file 김종남 신부 
2675호 2021. 10. 31  너는 하느님의 나라에서 멀리 있지 않다 file 김태환 신부 
2662호 2021.08.01  함께 만들어가는 생명의 빵 file 고원일 신부 
2659호 2021.07.11  ‘회개하라고 선포하여라.’ file 최재현 신부 
2654호 2021.06.06  “받아라, 이는 내 몸이다.” file 신동원 신부 
2217호 2013.05.26  삶으로 고백하는 삼위일체 신앙 이석희 신부 
2201호 2013.02.03  선입견 심순보 신부 
2097호 2011.03.20  하느님의 힘에 의지하여 복음을 위한 고난에 동참 하십시오(2디모 1,8) 장세명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