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699호 2022. 4. 3 
글쓴이 우세민 윤일 요한 
가짜뉴스… ‘소통’이 해결책

 
 
우세민 윤일 요한 / 가톨릭신문 기자


 
   대혼돈의 대선이었습니다. 내가 지지하는 후보, 또는 상대편 후보에 대한 신뢰도가 그 어느 때보다 떨어지는 대선이었습니다. 나의 선택을 검증하는데 언론은 오히려 도움을 주지 않았습니다. 대선뿐만이 아닙니다. 요즘은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누구 말이 맞는지 선택하기가 어려운 혼돈의 시대입니다.
 
   대혼돈의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는 ‘가짜뉴스’라고 생각합니다. 가짜뉴스로 시민들은 판단에 혼란을 느끼게 되고, 결국 확증편향(確證偏向)의 오류에 빠져들게 됩니다. 그리스도인이라고 예외는 아닙니다. 언제부터인가 일부 신자들은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다른 말을 하는 사람들을 불편해합니다. 교회의 가르침을 아전인수(我田引水) 격으로 받아들이면서 생각이 다른 형제자매와 선을 긋는 현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가짜뉴스는 점점 더 힘을 얻습니다.
 
   시민들에게 공동선보다는 이해관계를 부추기고, 지지층을 결속함으로써 자신들의 힘을 유지하려는 의도로 언론과 손을 잡고 가짜뉴스를 생산합니다.
 
   적어도 그리스도인이 가짜뉴스에 속지 않으려면 교회 가르침을 기준으로 믿고 따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느님의 복음에 근거한 교회 가르침이 가장 확실한 ‘팩트’이며 ‘진실’이겠지요. 세상을 교회 가르침에 따라 복음의 눈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더 이상 가짜뉴스에 속을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교회 가르침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분들,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 하는 분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결국은 ‘소통’이 답입니다. 저는 주교회의 사회홍보위원회 위원장 옥현진(시몬) 주교님께서 가톨릭신문과의 대담(2022년 3월 27일자)에서 하신 말씀으로 갈음하고 싶습니다.
 
   “교회 가르침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토론하는 장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합니다. 교회의 이야기에 반대하는 사람에게 틀렸다고 못 박아버리면 더 이상 대화의 여지는 없어지니까, 열어두어야 합니다. 적어도 하느님 백성으로서, 하느님을 사랑하고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으면서 살아가는 신앙인이라는 공통점 안에서 접점을 만들어 나가고 설득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12호 2022. 7. 3  이간질하지 맙시다! 우세민 윤일 요한 
2711호 2022. 6. 26  저마다 제 길에서 하느님을 향해 탁은수 베드로 
2710호 2022. 6. 19  순교자의 후손은 살아있다.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709호 2022. 6. 12  실천하는 신앙 공복자 유스티나 
2708호 2022. 6. 5  스승이신 혜진이를 기억하며 박선정 헬레나 
2706호 2022. 5. 22  잠깐의 배려를 내어주세요. 김도아 프란치스카 
2705호 2022. 5. 15  삐뚤이 아줌마 박영선 크리스티나 
2703호 2022. 5. 1  폐허에서 움트는 것 강은희 헬레나 
2702호 2022. 4. 24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윤경일 아오스딩 
2700호 2022. 4. 10  그지없이 높으신 분 정서연 마리스텔라 
2699호 2022. 4. 3  가짜뉴스… ‘소통’이 해결책 우세민 윤일 요한 
2698호 2022. 3. 27  예수님은 지금 어디에? 탁은수 베드로 
2697호 2022. 3. 20  하느님의 선물 김남수 루카 
2696호 2022. 3. 13  그냥 걸어라 오지영 젬마 
2694호 2022. 2. 27  배려(配慮) 원성현 스테파노 
2693호 2022. 2. 20  살아 있어줘서 고맙다아이가 박선정 헬레나 
2692호 2022. 2. 13  우리의 이웃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 이영훈 신부 
2690호 2022. 1. 30  지구촌의 모든 나라는 내 이웃이다 김동섭 바오로 
2689호 2022. 1. 23  영적인 아스피린 윤경일 아오스딩 
2688호 2022. 1. 16  감사함의 생활화 송상철 요셉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