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은 지금 어디에?

가톨릭부산 2022.03.23 11:07 조회 수 : 19

호수 2698호 2022. 3. 27 
글쓴이 탁은수 베드로 
예수님은 지금 어디에?

 
 
탁은수 베드로 / 광안성당 · 언론인
fogtak@naver.com

 
   사순 시기를 보내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수님은 지금 어디에 계실까요?” 성경을 따라 추정해보면 2천 년 전 이즈음, 예수님께서는 최후를 맞이하실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시기 전 갈릴래아 지방의 여러 마을에서 하느님을 전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다가올 수난과 죽음을 이미 알고 계셨습니다. 거기에다 바리사이 사람들의 음모와 믿었던 제자의 배신, 노골적인 생명의 위협을 느끼면서 청년 예수는 지금 어떤 심정일까요? 사순절은 예수님께서 공생활에 나서시기 전 광야에서 40일을 보내신 고통을 기억하는 시기입니다. 아무도 없는 광야에서 배고픔과 목마름에 시달리며 유혹과 시련에 빠진 청년 예수. 지금 예수님께서는 고통 속에 계십니다.
 
   예수님께서 머무셨던 광야는 메마른 골짜기가 가파르게 이어진 버려진 땅, 내리쬐는 태양을 피할 곳 없고 갈증과 허기를 해결할 수 없는 시련의 장소입니다. 세상과 단절된 절대 고독의 땅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계를 절감할 수밖에 없는 나약한 인간이 하느님을 찾고 의지하는 보호와 은총의 장소이기도 합니다. 세상과 멀어지고 하느님과 만나는 친교의 장소입니다. 그곳에서 예수님께서는 세상의 것을 채워주겠다는 악마의 유혹을 단호히 물리치시고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십니다. 그래서 광야는 세상 대신 하느님을 선택하는 영적투쟁의 장소이며 세상의 노예가 되는 절망 대신 하느님의 구원을 희망하는 극적인 변화의 장소이기도 합니다.
 
   불교에서는 인생을 고통의 바다라고도 합니다. 전쟁과 역병으로 세상은 지금 큰 고통에 빠져있습니다. 마실 물조차 없는 빈곤의 반대쪽에 음식 쓰레기가 넘쳐나는 극심한 불균형과 무너져가는 지구를 보면 욕심으로 황폐해진 광야가 점점 넓어지는 것 같습니다. 사람됨을 팔아야하는 경쟁을 재촉하고 승자만을 인정하는 세상은 점점 이익과 욕심의 노예가 되기를 강요하는 것 같습니다. 거짓과 탐욕이 득세하는 황량한 세상의 광야에서 우리는 어떻게 희망을 찾을 수 있을까요?
 
   사순절은 광야의 절망을 희망으로 단련하는 시기입니다. 세상의 것을 주겠다는 악마의 유혹을 단호히 끊어내야 구원의 희망과 하느님 세상의 기쁨을 맛볼 수 있습니다. 침묵과 기도, 명료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나약한 내가 교활한 악마의 유혹을 견뎌내기가 말처럼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두렵지 않은 건 광야에서도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내버려두지 않으신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미 광야 체험을 성공적으로 마치신 예수님께서 계시니 그분께 길을 묻고 그 길을 따라가면 될 일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12호 2022. 7. 3  이간질하지 맙시다! 우세민 윤일 요한 
2711호 2022. 6. 26  저마다 제 길에서 하느님을 향해 탁은수 베드로 
2710호 2022. 6. 19  순교자의 후손은 살아있다.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2709호 2022. 6. 12  실천하는 신앙 공복자 유스티나 
2708호 2022. 6. 5  스승이신 혜진이를 기억하며 박선정 헬레나 
2706호 2022. 5. 22  잠깐의 배려를 내어주세요. 김도아 프란치스카 
2705호 2022. 5. 15  삐뚤이 아줌마 박영선 크리스티나 
2703호 2022. 5. 1  폐허에서 움트는 것 강은희 헬레나 
2702호 2022. 4. 24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윤경일 아오스딩 
2700호 2022. 4. 10  그지없이 높으신 분 정서연 마리스텔라 
2699호 2022. 4. 3  가짜뉴스… ‘소통’이 해결책 우세민 윤일 요한 
2698호 2022. 3. 27  예수님은 지금 어디에? 탁은수 베드로 
2697호 2022. 3. 20  하느님의 선물 김남수 루카 
2696호 2022. 3. 13  그냥 걸어라 오지영 젬마 
2694호 2022. 2. 27  배려(配慮) 원성현 스테파노 
2693호 2022. 2. 20  살아 있어줘서 고맙다아이가 박선정 헬레나 
2692호 2022. 2. 13  우리의 이웃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 이영훈 신부 
2690호 2022. 1. 30  지구촌의 모든 나라는 내 이웃이다 김동섭 바오로 
2689호 2022. 1. 23  영적인 아스피린 윤경일 아오스딩 
2688호 2022. 1. 16  감사함의 생활화 송상철 요셉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