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파견된 사람입니다.

가톨릭부산 2022.03.23 11:06 조회 수 : 26

호수 2698호 2022. 3. 27 
글쓴이 박호준 신부 

우리는 파견된 사람입니다.

 

 
박호준 신부 / 지내성당 주임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 가산을 탕진하고 타락한 삶을 살던 아들이 돌아오자 달려가 아들의 목을 껴안고 입을 맞추는 아버지의 비유를 들었습니다. 그 모습은 우리들을 대하시는 하느님의 자비로운 사랑을 표현합니다. 동시에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한 자 되어라.”(레위 11,44 참조) 하신 말씀으로 자녀들인 우리 역시 실천해야 할 덕목입니다.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을 당신과 화해하게 하시면서, 우리에게 화해의 말씀을 맡기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절입니다.(2코린 5,19ㄱㄷ.20ㄱ)
 
   복음 선포는 종종 뜬구름 잡는 소리라는 비판을 받습니다. 그들은 현실에서 실천하기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신앙을 가진 우리들은 아무런 갈등도 느끼지 않고 진리의 말씀으로 받아들입니다. 그러한 모습이 좋은 것일까? 혹시 현실에서 실천할 생각이 없기 때문이며, 이미 복음과 나의 삶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라면 더 큰 문제입니다. 과연 누가 더 복음적인 사고를 하는 것인가? 나의 신앙은 현실의 삶과 분리되어 있지 않은가?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현실의 삶과 연결되기 위하여 그 대상이 누구인가에 대한 인식도 필요합니다. 우리는 몇 안 되는 사람들, 즉 가족을 포함하여 열 명 이내의 사람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그외의 몇 안 되는 사람들과 지나가는 관계를 맺고 살아갑니다. 그들은 실천의 대상이며, 몇 안 되는 기회입니다. 그들을 사랑하지 않고 누구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
 
   우리의 믿음이 실천되어야 하는 대상은 오늘 우리가 만나는 나의 가족이며, 나를 만나는 몇 안 되는 이웃들입니다. 그들은 나의 욕구충족의 대상이나 경쟁의 상대가 아닙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파견된 사람임을 인식할 때 가능한 복음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사랑을 체험한 신앙인들입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은 우리를 다그칩니다.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사랑을 고백하시고, 그 사랑의 선포를 우리에게 맡기셨습니다.(2코린 5,19 참조) 우리는 주변의 몇 안 되는 사람들에게 파견된 사람입니다. 바로 이 점이 우리가 믿는 바입니다. 엄혹한 현실 앞에 선 신앙인들은 “왜? 나만…!”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수난으로 드러난 하느님의 사랑 때문에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그분의 울컥하게 하는 사랑이 우리를 다그칩니다. 나는 현실의 삶 속에 몇 안 되는 사람들에게 파견된 자임을 마음에 새겨봅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649호 2021.05.02  언양성당에서 file 서강진 신부 
2650호 2021.05.09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file 전재완 신부 
2651호 2021.05.16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file 오용환 신부 
2652호 2021.05.23  성령의 은사를 입고 성령의 열매를 맺자! file 신진수 신부 
2653호 2021.05.30  그 사이에도 여기에도 살아계신 하느님 file 도정호 신부 
2654호 2021.06.06  “받아라, 이는 내 몸이다.” file 신동원 신부 
2655호 2021.06.13  작은 겨자씨에서 자라난 신앙 공동체 file 강병규 신부 
2656호 2021.06.20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 file 강헌철 신부 
2657호 2021.06.27  주님의 손을 잡고 일어서서 살아가기 file 이동화 신부 
2658호 2021.07.04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file 최요섭 신부 
2659호 2021.07.11  ‘회개하라고 선포하여라.’ file 최재현 신부 
2660호 2021.07.18  “좀 쉬어라.” file 노우재 신부 
2661호 2021.07.25  감사하는 마음에 상처가 나더라도… file 박갑조 신부 
2662호 2021.08.01  함께 만들어가는 생명의 빵 file 고원일 신부 
2663호 2021.08.08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더 행복하다.” file 장훈철 신부 
2664호 2021.08.15  ‘육신의 부활’과 ‘영원한 삶’이라는 희망이 성모님에게서 구체적으로 드러남. file 신기현 신부 
2665호 2021.08.22  영은 생명을 준다 file 원정학 신부 
2666호 2021.08.29  깨끗함과 더러움 file 전열 신부 
2667호 2021.09.05  에파타 file 김동환 신부 
2668호 2021.09.12  “내 뒤에 서서 나를 따르라.” file 장민호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