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사랑으로 날기

 

331. 미사에서 초를 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332.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333.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336. 저는 가끔 주님의 존재에 대해서 의심하게 됩니다신부님은 그런 적 없으시나요?

 

337. 전교를 하다보면 신앙생활이 어떤 유익을 주나?”라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338.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하느님의 양을 돌보시는 신부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이 못난 제언을 참작해주시기를 바랍니다.

 

340. 청년회 활동은 왜 주일 저녁미사에서만 할 수 있나요교중미사에서 할 수는 없나요?

 

341. 그럴 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이런 활동도 봉사인지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345.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 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너무 답답합니다.

 

346. 성전에 비치하는 것은 몰라도 성수를 가정에 두는 것은 왠지 기복적인 느낌이 듭니다.

 

347. 코로나 19로 인해서 금지되던 미사가 재개되면서 일괄고백과 일괄사죄가 있었습니다그 의미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묵주의 원조는 사실 작은 돌, 혹은 나뭇가지 따위였습니다.
그런 자잘한 것을 이용해서 매일 바치는 기도의 횟수를 헤아린 것이 묵주기도의 기원이지요.
그런 면에서 5단 묵주가 원조라거나 5단 묵주만이 정식 묵주라서 5단 묵주로 기도해야 옳다는 주장은 어불성설입니다.
사실 지금 사용되는 5단 묵주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습니다.
그리고 묵주 팔지는 끼고 있든 빼고 있던 아무런 은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것은 준성사가 아니라 그냥 액세서리이기 때문입니다라는 주장도 절반만 옳습니다.
묵주 팔찌를 끼고 있다는 것만으로 은총을 얻기 바란다면 기복신앙에 불과하지만, 사제에게 축성 받은 성물은 모두 준성사의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사제에게 축성 받은 묵주 팔찌는 분명한 은총의 도구라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붙여, 하느님께서는 사랑으로 바치는 기도는 무조건 기쁘게 받으신다는 점을 명심하면 좋겠습니다.
주님께서는 장소와 방법과 형식을 따지지 않으시며 오로지 우리의 진심어린 사랑을 원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하여 이런저런 세상의 말에 흔들리지 않는 신앙으로 살아가기 바랍니다.
기쁘게 묵주 팔찌를 선물하도록 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6
61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60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5 68
59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 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 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 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 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9
58 6. 나쁜 꿈을 꾸면 종일 언짢아집니다. 꿈 해몽에 집착하는 버릇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6 70
57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 왜 그렇게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0 70
56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55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4 72
54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7 72
53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0 73
52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9 75
51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50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5 75
49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5 75
48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9 76
47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76
46 2. 김용옥 씨가 주장하는 '구약성경 폐기론' 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1 78
45 3.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문제 2)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2 78
44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문제 4)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7 80
»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8 8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