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사랑으로 날기

 

331. 미사에서 초를 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332.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333.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336. 저는 가끔 주님의 존재에 대해서 의심하게 됩니다신부님은 그런 적 없으시나요?

 

337. 전교를 하다보면 신앙생활이 어떤 유익을 주나?”라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338.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하느님의 양을 돌보시는 신부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이 못난 제언을 참작해주시기를 바랍니다.

 

340. 청년회 활동은 왜 주일 저녁미사에서만 할 수 있나요교중미사에서 할 수는 없나요?

 

341. 그럴 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이런 활동도 봉사인지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345.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 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너무 답답합니다.

 

346. 성전에 비치하는 것은 몰라도 성수를 가정에 두는 것은 왠지 기복적인 느낌이 듭니다.

 

347. 코로나 19로 인해서 금지되던 미사가 재개되면서 일괄고백과 일괄사죄가 있었습니다그 의미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341. 그럴 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성모님께 형제님의 안타까움과 답답함을 전해 올리며 사제이기에 이 되지 못하고 딱 잘라 거절하세요라는 답을 할 수 없는 것이 속상했습니다.
그럼에도 형제님,
그리스도인의 믿음은 섬기는 사람”(루카 22,27)으로 세상에 오신 주님을 닮아 살아가는 것으로 귀결됩니다.
때문에 세상의 눈에는 걸림돌이요 어리석음입니다(1코린 1,23).
저는 무엇보다 형제님의 마음 상태를 염려합니다.
아닌 일로 인해서 형제님 마음이 삭막해지지 않았을지,
사소한 일에서 짜증을 내며 매사에 감정이 곤두서서 스스로의 일상을 미움과 원망과 판단으로 좀먹게 하는 것은 아닐지, 걱정합니다.
형제님, 이런 상황에서 제일 마음이 아프신 분은 성모님이십니다.
그래서 결국엔 두 자녀가 함께 기뻐하며 함께 웃을 수 있도록 마음을 매만져주고 계실 줄 압니다.
, 그래서 믿음은 또한 희망의 기다림이지요!
물론 강요된 봉사는 레지오 정신에 합당치 않습니다.
아닌 것을 아니라고 건의하는 것 또한 믿음인의 용기이며 지혜입니다.
그럼에도 십 리를 가자할 때 기꺼이 이십 리를 가주는 마음이라면,
알면서도 사랑으로 속아준다면 매우 향기로운 활동보고일 것입니다.
성모님께서 형제님의 산란한 마음을 정리 정돈해 주시길 기도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89. 성모님의 원죄 없이 태어나심을 믿을 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30 34
221 79. 하느님은 사랑이시기에 지옥은 존재하지 않는다는데, 맞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9 34
220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1 34
219 229. 주일마다 마음이 무겁습니다. 강론 중에 신자를 내쫒고 나이 많은 어른께 반말을 하는 본당 신부님께서 드리시는 미사는 전혀 기쁘지 않습니다. 신부님의 너무 높은 위치를 보지마시고 조금 머리를 낮춰 우리 마음을 헤아려 주세요. 그래도 신부님들, 정말 사랑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33
218 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 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33
217 98. 지난 번 소곤소곤에 “성경통독의 효과”를 언급하셨는데, 상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0 33
» 341. 그럴 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7 32
215 317.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 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 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 주위에서는 “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된 도리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1 32
214 96. 독서자로 선정되어 기쁘지만, 한편 조심스럽습니다. 독서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을 가르쳐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8 32
213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8 32
212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9 32
211 186. 모태 신앙인입니다. 세례로 모든 죄가 씻어졌다는 걸 믿습니다. 그런데 요즘 잠자리에서 자꾸 지난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이 생각납니다. 주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어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다시 총고해를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31
210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7 31
209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②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7 31
208 338.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4 30
207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5 30
206 192. 시댁은 가톨릭에서 불교로 개종했습니다. 저희들만 신자인데 명절 때면 노골적으로 싫은 눈치를 줍니다. 시아버님은 성당 소리만 들어도 싫다고, 성당 건축할 때 모두가 도둑놈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뼈 속에 새겼다고 하십니다. 죄송합니다. 이 표현을 그대로 옮긴 점 이해해 주세요. 하느님을 부인하고, 다시 알려고도 하지 않는 시댁 가족과 어떻게 지내야합니까? 설 명절이 다가오니 다시 가슴이 답답합니다. ​​​​​​​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30
205 94.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 때문에 가톨릭이 성모님을 흠숭하는 교회라는 오명을 듣는 것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5 30
204 86. 선교할 때, “처녀가 잉태하다니 말이 되느냐”고 되물음을 당했습니다.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7 30
203 78. 신부님의 뜻은 알겠지만 세상과 너무 동 떨어집니다. 그리스도인이 노력해서 우월해지면 좋은 일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8 30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