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로운 기다림

가톨릭부산 2022.03.16 11:22 조회 수 : 19

호수 2697호 2022. 3. 20 
글쓴이 이영훈 신부 

자비로운 기다림

 

 
이영훈 신부 / 노동사목 본부장


 
   저는 식물 키우는 재능이 많이 부족합니다. 기본적인 관심에 더해서 각 식물의 특징 등을 습득하고 적용해 보았지만 그 결과는 매번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이런 제 마음을 알아주는지 가끔 겨우겨우 생명력을 유지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저러한 우여곡절을 겪는 가운데 배운 작은 가르침이 하나 있습니다. 식물을 돌볼 때 필요한 것 중 하나가 ‘믿음과 기다림’이라는 사실입니다.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우려는 ‘보이지 않는 움직임’을 믿고 기다리면서 애정을 줄 때 식물은 그동안 숨겨둔 자신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혹시 잎이 마르고 꽃이 피지 않더라도 애정을 가지고 기다려야 합니다. 겉만 보고 섣불리 판단하고 잘라버리는 실수를 해서는 안 됩니다. 아직 때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의 기다림이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는 ‘겉’만 보고 누군가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나 쉽게 누구와의 관계를 단절해 버립니다. 나름 기다렸으니 당연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는 하느님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좀 더 자비로운 사람(루카 6,36)이 되어야 합니다. 분노에는 ‘더디시지만’ 자애가 넘치시는 하느님(시편 103,8)을 우리는 배워야 합니다. 하느님의 기다림을 배워야 합니다.
 
   왜 그래야 할까요?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한없이 기다려 주시는 분이십니다. 마치 집 떠난 작은 아들을 하염없이 기다리던 아버지(루카 15장)처럼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당신 품으로 되돌아오기까지 당신의 사랑과 자비를 멈추지 않으십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기다림으로 ‘인해’ 살아갑니다. 하느님의 기다림이 없다면 우리는 한순간도 심판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누군가를 향한 성급한 판단과 단절을 버려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하느님께 받은 ‘자비로운 기다림’을 우리도 누군가에게 실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포도 재배인은 포도나무들보다 ‘한 그루의 무화과나무’에 더 많은 애정을 줍니다. 그리고 희망을 가지고 1년을 다시 기다립니다. 우리도 사순 시기를 보내면서 평소에 무관심했고 거리를 두었던 그리고 용서하지 못했던 ‘가족과 이웃’인 ‘무화과나무들’에게 ‘자비로운 기다림’을 실천해 보면 어떨까요? 혹시 아나요? 그 기다림 끝에 우리가 그동안 보지 못했던 것을 만날 수 있을지, 그리고 그들과 화해할 수 있는 은총의 순간을 체험할 수 있을지 ….
호수 제목 글쓴이
2022호 2009.11.19  그리스도왕 대축일 김동환 신부 
2151호 2012.03.11  성전 정화 사건 김동환 신부 
2368호 2016.02.07  말씀을 따르는 베드로 김동환 신부 
2667호 2021.09.05  에파타 file 김동환 신부 
2042호 2010.03.28  이 사람은 정녕 의로운 분이셨다 김두완 신부 
2192호 2012.12.16  그러면 저희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 김두완 신부 
2341호 2015.08.16  미사 참례 이유 김두완 신부 
2562호 2019.09.29  예수님 사랑 깨닫기 file 김두완 신부 
2156호 2012.04.15  하느님의 선물 김두유 신부 
2374호 2016.03.20  하느님과 인간의 마음이 다름 김두유 신부 
2348호 2015.10.04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김두윤 신부 
2020년 1월 19일 연중 제2주일  하느님의 어린양 김두윤 신부 
2580호 2020.01.19  하느님의 어린양 file 김두윤 신부 
2761호 2023. 6. 1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빵이다. 누구든지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이다.”(요한 6,51) file 김두윤 신부 
2393호 2016.07.31  행복한 삶 김두진 신부 
2537호 2019.04.07  고백과 파견 file 김두진 신부 
2728호 2022. 10. 23  은총의 삶, 초대의 삶 file 김두진 신부 
2105호 2011.05.15  부르심과 응답 김명선 신부 
2260호 2014.02.16  율법, 그리스도인에게 걸림돌인가? 김명선 신부 
2458호 2017.10.29  가장 큰 계명은 무엇입니까? file 김명선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