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사랑으로 날기

 

331. 미사에서 초를 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332.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333.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336. 저는 가끔 주님의 존재에 대해서 의심하게 됩니다신부님은 그런 적 없으시나요?

 

337. 전교를 하다보면 신앙생활이 어떤 유익을 주나?”라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338.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하느님의 양을 돌보시는 신부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이 못난 제언을 참작해주시기를 바랍니다.

 

340. 청년회 활동은 왜 주일 저녁미사에서만 할 수 있나요교중미사에서 할 수는 없나요?

 

341. 그럴 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이런 활동도 봉사인지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345.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 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너무 답답합니다.

 

346. 성전에 비치하는 것은 몰라도 성수를 가정에 두는 것은 왠지 기복적인 느낌이 듭니다.

 

347. 코로나 19로 인해서 금지되던 미사가 재개되면서 일괄고백과 일괄사죄가 있었습니다그 의미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찬송하다의 그리스어 원문은 ‘megnalnei’이고 이 단어의 라틴어 번역이 마니피캇입니다.
그 뜻은 크게 하다(만들다)’이지요.
이 원 뜻은 우리에게 참된 찬미가 무엇인지를 일깨워주는데요.
찬미란 상대방이 크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임을 알게 합니다.
아울러 상대방의 그 이 나를 주눅 들게 하지 않고 오히려 내게도 기쁨의 원천이 된다는 점도 매우 중요합니다.
만일 상대방의 이 내 작음을 드러내서 초라해진다면 그 관계는 굴종일 뿐, 진정으로 상대를 찬미한다고 말할 수 없는 일이니까요.
물론 마니피캇에서 가장 놀라운 현상은 크신 하느님께서 작은 마리아 앞에서 아주 작아지셨다는 사실입니다.
전능하고 위대한 분이 작고 평범한 한 처녀의 허락을 청하셨다는 점입니다.
성모님은 보잘것없는 자기를 이렇듯 소중하게’, ‘크게대해 주시는 하느님 앞에서 깊이 감동하셨지요.
작은 자기 안에 크신 하느님을 맞이하며 온몸으로 당신은 정녕 크십니다라고 고백했던 것입니다.
성모님을 본받는 신앙인들이 자신을 드러내기보다 상대방을 인정하고 상대가 주님 안에서 쑥쑥 자라나는 것을 기뻐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성모찬가를 부를 때마다 성모님의 마음을 새겨 노래한다면 지금 이 땅에서 천국의 삶을 당겨 살게 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0 45
261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문제 4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5
260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259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5
258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6 45
257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4 45
256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8 44
255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9 44
254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3 44
253 322.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6 43
252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0 43
251 8.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불의한 일에도 적용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8 43
250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0 42
249 230. 미사전례 중 사람이 쓰러졌는데도 계속 미사만 진행하는 모습에 실망했습니다. 잠시 중단하고 환자를 배려하는 게 도리가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42
248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247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문제 25)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1 42
246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8 42
245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41
244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 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6 41
243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2 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