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희망으로 달리기

 

313. 2021년은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희년이 선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희년을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315. 마음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마음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혹시 죄가 아닌가요?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317.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주위에서는 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된 도리일까요?

 

318. 어머니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319.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 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320.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그런데 복음서에 세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세무관련 직업이 자본주의의 핵심에 해당되고 왠지 주님께서 그리 좋아하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321. 최근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부업을 하고 있습니다근데 이 일이 공정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돈을 생각하면 이 일을 해야 하고계속 하자니 주님의 노여움을 피할 수 없을 것 같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322.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325.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관면 혼배 등의 절차를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알고 싶습니다

 

326.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327. “(당신은 4 이내에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 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어떻게 참아내야 할지조언을 구합니다.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330. 가경자 최양업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질문을 받고 어머님의 마음을 헤아려보았습니다.
그리고 매장이 아닌 화장으로 땅의 삶을 마감하길 원하신 어머님의 영혼을 위해서 기도가 흘러나왔습니다.
이야말로 살아 숨쉬던 땅에 대한 감사이며 자기 자리를 비우는 주님 닮은 모습이라 생각되었습니다.
후손의 영화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풍수를 따지고 명당자리를 탐하는 세상에서 몇 배 더그분께서 만드신 세상을 사랑하는 행위라 믿어집니다.
세상은 죽음을 삶의 끝이고 나락이라 애통히 여기며 회피하려 합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에게 죽음이란 아버지 집으로의 신나는 귀향입니다.
기쁘고 복된 새 삶의 문턱을 넘어서는 과정일 뿐입니다.
부활을 믿는 그리스도인은 죽음 앞에서 예수님을 뵈올 생각으로 새색시처럼 설렙니다.
사람이 생겨날 때 그를 빚어내시고 만물이 생겨날 때 그것을 마련해내신 온 세상의 창조주께서”(2마카 7, 23) 목숨과 생명을 다시 주십니다.
이 썩는 몸은 썩지 않을 것을 입고 이 죽는 몸은 죽지 않는 것을”(1코린 15, 53) 입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상상치 못할 아름다운 모습으로 부활할 것입니다.
교회는 화장을 반대하지 않습니다.
우리를 위해서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도 이 땅에 무덤이 없습니다.
진정한 부활의 신앙으로 마음의 짐을 벗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89. 성모님의 원죄 없이 태어나심을 믿을 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30 34
221 79. 하느님은 사랑이시기에 지옥은 존재하지 않는다는데, 맞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9 34
220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1 34
219 229. 주일마다 마음이 무겁습니다. 강론 중에 신자를 내쫒고 나이 많은 어른께 반말을 하는 본당 신부님께서 드리시는 미사는 전혀 기쁘지 않습니다. 신부님의 너무 높은 위치를 보지마시고 조금 머리를 낮춰 우리 마음을 헤아려 주세요. 그래도 신부님들, 정말 사랑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33
218 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 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33
217 98. 지난 번 소곤소곤에 “성경통독의 효과”를 언급하셨는데, 상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0 33
216 341. 그럴 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7 32
215 317.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 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 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 주위에서는 “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된 도리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1 32
214 96. 독서자로 선정되어 기쁘지만, 한편 조심스럽습니다. 독서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을 가르쳐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8 32
213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8 32
212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9 32
211 186. 모태 신앙인입니다. 세례로 모든 죄가 씻어졌다는 걸 믿습니다. 그런데 요즘 잠자리에서 자꾸 지난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이 생각납니다. 주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어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다시 총고해를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31
210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7 31
209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②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7 31
208 338.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4 30
»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5 30
206 192. 시댁은 가톨릭에서 불교로 개종했습니다. 저희들만 신자인데 명절 때면 노골적으로 싫은 눈치를 줍니다. 시아버님은 성당 소리만 들어도 싫다고, 성당 건축할 때 모두가 도둑놈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뼈 속에 새겼다고 하십니다. 죄송합니다. 이 표현을 그대로 옮긴 점 이해해 주세요. 하느님을 부인하고, 다시 알려고도 하지 않는 시댁 가족과 어떻게 지내야합니까? 설 명절이 다가오니 다시 가슴이 답답합니다. ​​​​​​​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30
205 94.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 때문에 가톨릭이 성모님을 흠숭하는 교회라는 오명을 듣는 것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5 30
204 86. 선교할 때, “처녀가 잉태하다니 말이 되느냐”고 되물음을 당했습니다.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7 30
203 78. 신부님의 뜻은 알겠지만 세상과 너무 동 떨어집니다. 그리스도인이 노력해서 우월해지면 좋은 일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8 30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