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희망으로 달리기

 

313. 2021년은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희년이 선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희년을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315. 마음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마음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혹시 죄가 아닌가요?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317.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주위에서는 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된 도리일까요?

 

318. 어머니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319.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 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320.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그런데 복음서에 세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세무관련 직업이 자본주의의 핵심에 해당되고 왠지 주님께서 그리 좋아하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321. 최근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부업을 하고 있습니다근데 이 일이 공정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돈을 생각하면 이 일을 해야 하고계속 하자니 주님의 노여움을 피할 수 없을 것 같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322.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325.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관면 혼배 등의 절차를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알고 싶습니다

 

326.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327. “(당신은 4 이내에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 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어떻게 참아내야 할지조언을 구합니다.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330. 가경자 최양업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 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어떻게 참아내야 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성경은 화를 내고 분노하는 것만으로 영혼이 죽음으로 끌려갈 수 있다는 두려운 경고를 거푸 들려줍니다.
화가 나더라도 죄는 짓지 마십시오.
해가 질 때까지 노여움을 품고 있지 마십시오.
악마에게 틈을 주지 마십시오”(에페 4,26)라며
애당초 우리 마음에 분노라는 괴물을 키우지를 말아야 한다는 사실을 가르칩니다
.
단순히 화를 내는 것으로 악마에게 행복을 앗아갈 틈을 준다는 아찔한 경고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성경은 불의 앞에서
혹은 선을 방해하는 세상을 향한 분노는 예외임을 밝히는데요
.
아론의 손자, 피느하스가 가졌던 하느님을 위한 분노를 정의로 칭찬하셨다는 점에서 정신을 훼방 놓는 마귀를 반대한 분노는 건전하고 바람직하며 정의로운 행위임을 선포합니다.(민수 25; 집회 45,23-26 참조)
아테네가 우상으로 가득 찬 것을 보고 격분했던 바오로 사도의 마음도 마찬가지이지요.
하지만 일상에서 갖는 모든 분노는 마음을 상하게 할 뿐입니다.
더해서 말짱한 정신을 무너뜨리는 무서운 감정으로 자라나기 일쑤입니다.
문제는 세상의 어느 누구도 화를 안 낼 재간이 없다는 점인데요.
하루에도 몇 번씩 분통터지는 일을 겪을 수 있고
아주 작고 사소한 일에도 안절부절 짜증이 날 수 있으며
매우 작고 사소한 일을 빌미로 화가 치밀 수도 있으니까요
.
그러기에 분노를 삭이지 못하고 표출할 때, 자신뿐 아니라 상대의 감정을 다치게 하여 그마저도 죽음으로 이끌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분노가 습관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를 절제하는 노력으로 격한 마음을 희석시켜야 합니다.
“1
분 화내면 60초의 행복을 잃는다는 말처럼
순간의 분노는 행복을 팽개치는 미련한 마음임을 명심해야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288.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 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 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1
61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문제 4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5
60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7
59 291. 요즘 연예인들의 혼전관계 사실이 공공연히 보도됩니다. 이제 혼전관계는 숨겨야 할 일도 아니고 죄도 아니라는 느낌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6
58 292.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3
57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 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5
56 294.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3
55 295.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대답을 못했습니다.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2
54 296.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9
53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39
52 복된 속삭임으로 행복해지세요(소곤소곤 7권, 장재봉스테파노)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1 9
51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2 18
50 299.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3 8
49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 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 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4 14
48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5 75
47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6 6
46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 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7 8
45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 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8 26
44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 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9 18
43 306. 사도신경에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0 12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