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의 기술과 하느님의 뜻

가톨릭부산 2022.03.03 09:21 조회 수 : 22

호수 2695호 2022. 3. 6 
글쓴이 김대성 신부 

유혹의 기술과 하느님의 뜻

 

 
김대성 신부 / 동대신성당 주임


 
   오늘 복음에서 악마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고의 기술을 동원해서 예수님을 유혹합니다. 빵은 인간에게 꼭 필요한 양식이고 배고픈 이가 빵을 먹는 것은 당연한 권리처럼 여겨집니다. 모세의 인도를 받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에서 배고플 때 하느님을 원망했지만, 예수님께서는 할 수 있고 당연히 해도 될 것 같은 일 앞에서도 먼저 하느님의 뜻을 찾습니다. 첫 번째 장면은, 나쁜 일이 아니고 합리적이고 어쩌면 당연한 권리처럼 여겨지는 일을 통해서도 악마는 유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유혹의 기술은 너무 평범하고 노골적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주일을 지키려고 노력하며 나름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내가, 세상의 권세와 영광을 준다 해서 악마에게 경배하게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등장인물이 악마가 아니고 얻는 것도 그렇게 엄청난 것이 아니라면 어떻겠습니까?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혹은 불이익을 피하고자, 거짓과 탐욕, 불의와 횡포에 고개를 숙인다면...... 이것들이 모이고 쌓여서 의인을 폭행하고 하느님의 나라를 약탈합니다. ‘하느님도 이해해 주실 거야.’ ‘하느님 이번 한 번만요.’ 예수님께 모든 권세와 영광을 걸었음에도 실패한 악마가 우리에게는 보다 다양하고 교묘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다시금 상기해야 할 것입니다.
 
   두 번을 실패한 악마가 세 번째로 선택한 방법은 왠지 최상의 무기인 것 같습니다. 윈윈 전략으로 포장하는 것입니다. “너의 이름을 드높이고 하느님께도 영광을 드려라!”는 것입니다. ‘이건 하느님을 열심히 섬겨온 저에게도 좋고 하느님께도 좋은 일이잖아요!’ 이런 허영심이 피어오를 때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로 아버지께 가장 큰 영광을 드리신 예수님께 도움을 청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 복음 장면을 묵상하면서 다섯 가지의 이유와 열 가지의 유익함을 내세워 하나이신 그분의 뜻을 애써 외면하려 했던 순간들이 떠오릅니다. 유혹의 기술을 물리치는 가장 큰 힘은 내 뜻을 내려놓고 아버지의 뜻을 찾는 단순한 일임을 고백하며 예수님께 위로와 도움을 청합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17호 2022. 8. 7  내가 선택하지 않으면 남의 선택을 따르게 됩니다. file 이요한 신부 
2716호 2022. 7. 31  가진 것의 노예가 되지 말 것을 엄중히 경고하시는 예수님 file 한인규 신부 
2715호 2022. 7. 24  빈말을 되풀이하지 마라 file 손지호 신부 
2714호 2022. 7. 17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루카 10,41) file 강우현 신부 
2713호 2022. 7. 10  그렇게 하여라 file 강정웅 신부 
2712호 2022. 7. 3  그리스도는 우리를 통해 살아계십니다 file 김인한 신부 
2711호 2022. 6. 26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file 김병수 신부 
2710호 2022. 6. 19  아비의 살을 먹어야 하는 운명 file 김지황 신부 
2709호 2022. 6. 12  삼위일체 하느님을 믿고, 그 사랑을 찾고 닮아가는 우리가 됩시다. file 이상율 신부 
2708호 2022. 6. 5  “오소서 성령님” file 염철호 신부 
2707호 2022. 5. 29  겸손과 자기비움 file 김종남 신부 
2706호 2022. 5. 22  “저희를 버려두지 마소서.” file 한종민 신부 
2705호 2022. 5. 15  “서로 사랑하여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file 김기영 신부 
2704호 2022. 5. 8  예수님의 부활을 믿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디에 투자하시겠습니까? file 임성환 신부 
2703호 2022. 5. 1  부활 증인의 미사 file 정창식 신부 
2702호 2022. 4. 24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Dominus meus et Deus meus!) file 정성철 신부 
2701호 2022. 4. 17  “너희에게 무엇이라고 말씀하셨는지 기억해 보아라.” file 신호철 주교 
2700호 2022. 4. 10  예루살렘을 넘어 file 박재범 신부 
2699호 2022. 4. 3  자비의 하느님 file 김대하 신부 
2698호 2022. 3. 27  우리는 파견된 사람입니다. file 박호준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