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희망으로 달리기

 

313. 2021년은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희년이 선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희년을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315. 마음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마음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혹시 죄가 아닌가요?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317.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주위에서는 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된 도리일까요?

 

318. 어머니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319.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 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320.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그런데 복음서에 세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세무관련 직업이 자본주의의 핵심에 해당되고 왠지 주님께서 그리 좋아하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321. 최근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부업을 하고 있습니다근데 이 일이 공정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돈을 생각하면 이 일을 해야 하고계속 하자니 주님의 노여움을 피할 수 없을 것 같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322.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325.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관면 혼배 등의 절차를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알고 싶습니다

 

326.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327. “(당신은 4 이내에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 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어떻게 참아내야 할지조언을 구합니다.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330. 가경자 최양업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327. “() 당신은 4 이내에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이런 식의 행위가 하느님의 뜻에 반대된다는 사실은 자매님도 이미 파악하신 것으로 짐작됩니다.
다만 이제부터는 언제나 무엇에나 주님의 말씀에 비추어 선택하고 지향하는 진정한 지혜인이 되시길 간곡히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주님께서 언제, 이러고 저런 방법에 따라서 몇 번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면 떼돈을 벌게 해 준다고 하신 적이 있습니까?
주님께서 언제, 그런 허접한 행위를 거부하면 대번에 자식이 병이 생길 것이라고 하신 적이 있습니까?
저는 지금 너무 슬픕니다.
우리 주님이 시시한 무당취급을 받고 계신 것 같아, 기가 막힙니다.
그리스도인을 현혹시키는 사탄의 방법은 다양할 뿐 아니라 교묘하여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하지만 복음에 기초한 삶을 살아간다면 사탄의 유혹에서 풍기는 악취를 금세 분별할 수 있습니다.
사탄의 공식은 늘 주님의 뜻보다 입니다주님보다 자식입니다.
좀 더, 그럴듯하고 폼나는 업적을 이룬 후에 더 대단하게 주님을 섬기면 훨씬 멋질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지금, 이 순간 우리의 온전한 봉헌을 가장 기뻐하십니다.
헷갈리지 마십시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327. “(…) 당신은 4일 이내에 이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 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 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3 11
21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 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어떻게 참아내야 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4 11
20 329. 육신의 부활을 믿기에 화장을 금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어머니의 유지에 따라서 화장을 선택한 일이 마음에 걸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5 34
19 330. 가경자 최양업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6 12
18 331. 미사에서 초를 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7 116
17 33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8 162
16 333.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9 353
15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0 48
14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1 22
13 336. 저는 가끔 주님의 존재에 대해서 의심하게 됩니다. 신부님은 그런 적 없으시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2 37
12 337. 전교를 하다보면 “신앙생활이 어떤 유익을 주나?”라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 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3 26
11 338.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4 35
10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5 39
9 340. 청년회 활동은 왜 주일 저녁미사에서만 할 수 있나요? 교중미사에서 할 수는 없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6 50
8 341. 그럴 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7 38
7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8 91
6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 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9 47
5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0 50
4 345.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 “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1 60
3 346. 성전에 비치하는 것은 몰라도 성수를 가정에 두는 것은 왠지 기복적인 느낌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2 16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