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믿음으로 걷기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299.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어떻게 되었나요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306. 사도신경에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3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308. “정말로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309. 왠지 하느님께서는 저를 용서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312. 코로나19로 마음이 불안합니다성당에 가는 것도 두려워 방송미사로 대체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강론도 듣게 되어마음이 윤택해지는 기분입니다점점 더 성당에 갈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이렇게라도 신앙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그릇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죄는 고해성사를 통해서 용서받습니다.
하지만 잊고 고백하지 못한 죄에 대한 벌이 남을 수 있고 고해신부가 부여한 보속이 죄에 비례되지 못할 수도 있지요(보속이 적다고 좋아할 것만은 아닌 겁니다.^^).
전대사는 하루에 한 번 허용되지만 한 번의 고해성사로써 8일간 전대사를 이어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듯 큰 은총을 주신 주님께 감사드리는 교회는 전대사를 받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여 충족시킬 것을 요구합니다.
모든 신자들이 조건을 실천함에 사랑과 정성이 깃들기를 청합니다.
죄악에 대한 애착을 끊어내는 의미의 고해성사와
성체를 모시고 교황님의 지향에 따른 기도를 진심으로 바치는 것이 필수인 것이지요
.
진정한 영적 회개만이 우리를 고쳐줍니다.
주님의 자비를 닮게 합니다.
주님처럼 가난하고 상처받은 이에게 마음의 문을 활짝 여는 사랑으로 살게 합니다.
그런 만큼 자신을 위해서, 가까운 이들을 위해서 전대사를 얻는다는 의미만으론 주님께 너무 송구한 행위일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죄를 고백할 줄 아는 것은 하느님의 선물이요 하느님의 작품이라 하셨습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고해소를 찾으라고 재촉하셨습니다.
전대사는 보속되지 못한 잠벌을 면제받고 영혼이 정화되는 은총의 작업임을 잊지 마세요.
무엇보다 고해성사가 신앙생활의 짐이나 걸림돌이 아니라
깊고 따순 주님의 엄청난 자비의 열매라는 걸 기억해주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①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6 41
241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1
240 343.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 맞습니다. 심신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9 40
239 318. 어머니, 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 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 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 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2 40
238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0
237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40
236 219. 주일미사 예물 봉헌 시간에 평신도는 예물 봉헌을 하는데 신부님이나 수녀님들은 예물 봉헌을 하는 것을 보질 못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성직자나 수도자들은 몸과 마음을 주님께 봉헌하셨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39
235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 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9
234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233 324. 스마트 폰으로 성경을 읽다가 성경책을 안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너무 당황하여 난생 그렇게 얼굴 붉어지기는 처음이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8 38
232 95. 성경이 여러 권 있는데도 굳이 새 성경을 구입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6 38
231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8 38
230 ​​​​​​​77. 고3입니다. 미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공부하지 않는 학생’으로 취급당할 때는 힘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6 38
229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228 33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 “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얼마 전 주일학교 방학소식에 ‘아쉬워 서글픈’ 표정을 짓던 아이의 눈망울을 잊을 수가 없어서 이 글을 올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5 36
227 기도드리며 다시 묶어바칩니다.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4 36
226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225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5
224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성모님께서 '평생' 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4 35
223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9 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