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7권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믿음으로 걷기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299.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어떻게 되었나요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306. 사도신경에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3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308. “정말로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309. 왠지 하느님께서는 저를 용서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312. 코로나19로 마음이 불안합니다성당에 가는 것도 두려워 방송미사로 대체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강론도 듣게 되어마음이 윤택해지는 기분입니다점점 더 성당에 갈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이렇게라도 신앙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그릇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언젠가 저도 공룡은 덩치가 너무 커서 방주에 들어가지 못하고 멸종을 했나라는 엉뚱한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성경은 주님의 사랑과 자비와 주님의 애통하심과 아픔까지 오롯이 느끼게 하는 하느님의 말씀입니다.
이러한 주님의 진심을 알면 단단한 믿음과 흔들리지 않는 희망과 사랑으로 살아갈 수 있는데요.
성경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학문적인 서적이 아니기에, 인간의 논리로 따질 때 허술한 구석이 한두 군데가 아닙니다.
때문에 허구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난무한 실정이지요.
노아의 이야기에서는 이해되지 않는 하느님의 뜻에도 묵묵히 순명했던 노아의 모범적 신앙에 집중하는 것이 옳습니다.
따지지 않고 모든 것에 의탁하는 믿음이야말로 생명의 길에 들어서는 비결임을 알려주고 있으니까요.
성경의 한 구절 한 구절에 얽매여 걸려 넘어지기보다 계속 무조건 더 열심히 읽도록 하세요.
성경읽기는 주님의 마음을 깨닫는, 날아갈 듯한 기쁨을 선물 받는 아름다운 봉헌입니다.
마침내 그날,
우리는 모든 것을 속 시원히 알게 될 테니 너무 궁금해 하지 맙시다!
우리가 지금은 부분적으로 알지만 그때에는 하느님께서 나를 온전히 아시듯,
나도 온전히 알게 될 것입니다”(코린 13,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3 16
241 143. 하느님께서는 왜 모든 사람을 이쁘게 만들지 않고 저처럼 못난 사람을 섞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1 16
240 162. 퇴장 성가로써 미사가 종료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신자들도 퇴장할 수 있지 않나요? 그런데 영광송으로 다시 마침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6
239 198. 신부님께서 성체를 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 하시는데 ‘아멘’이라고 제대로 답하지 않았다고 몇 번이나 “하세요. 하세요”라는 추궁을 당해서 너무 부끄럽고 민망했습니다. 꼭 ‘아멘’이라고 소리를 내서 말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6
238 228. 자비심 기도를 바칠 때에 비해서 묵주 기도에서는 자꾸 잡념이 생깁니다. 때문에 자비심 기도를 더 많이 바치게 되는데 괜찮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6
237 250.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납득이 어렵습니다. 교리 선생님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문제 4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6
236 265.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 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 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 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6
235 291. 요즘 연예인들의 혼전관계 사실이 공공연히 보도됩니다. 이제 혼전관계는 숨겨야 할 일도 아니고 죄도 아니라는 느낌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6
234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6 17
233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문제 22)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7 17
232 191.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합니다. 고해성사 때마다 신부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을까봐 마음이 졸아들고 걱정이 앞섭니다. 글로 대신할 수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7
231 251. 착하게 살면 되지, 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7
230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7
229 315. 마음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9 17
228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5 18
227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2 18
226 8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문제 15)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2 18
225 99. 어른에게도 지루한 성경을 아이에게 권하기가 어렵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1 18
224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 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5 18
223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 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8 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