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소곤소곤, 복된 속삭임으로 행복해지세요.

 

온통 흐렸습니다.

지난 두어 해, 우리 삶은 회색 커튼이 드리워진 듯 희미했습니다.

함께하는 시간을 잃고 함께 누리는 기쁨도 슬픔도 아픔도 양보해야 했습니다.

하여 그동안의 안녕을 간절히 여쭙게 됩니다.

그간 우리를 무겁게 하던 모든 것에서 자유로워지시길, 소원하게 됩니다.

 

소곤소곤이 세상에 선을 뵌 지 어느새 십 년이 넘었습니다.

미루던 7권을 발간하려니 첫 책을 내던 2008년도의 설렘이 크게 다가오는군요. 짧지 않은 시간, 교우님들께서 보여주신 꾸준한 사랑에 감사드리는 마음도 벅차오릅니다.

솔직히 망설였습니다. 이런 시기에, 이런 상황에, 새 책을 낸다는 게 조심스러웠습니다. 하지만 어렵고 힘들기에 신앙은 더욱 튼튼해져야 하고 지혜로워야 한다는 의지가 저를 깨웠습니다. 신앙은 결코 정체되고 고정될 수 없는 신비의 것이며, 신앙심은 배우고 익히고 실천하려는 부단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사실이 저를 부추겼습니다.

그리스도인이 온전히 살아내는 믿음과 희망과 사랑은 세상의 평화를 선물하는 도구이니까요. 우리의 믿음과 희망과 사랑은 매일 매 순간 약진해야 하기에 도약의 걸음을 멈출 수 없고 뒷걸음칠 수 없는 절대적인 것이니까요. 이 진리에 힘을 냅니다. 물론 신앙과 삶에 대한 질문을 보내주신 신자분들 덕분임을 숨기지 않겠습니다.

 

출간을 결단하도록 격려와 사랑을 쏟아주신 분들, 특히 월평성당 신자들께 큰 빚을 졌습니다. 아울러 언제나 사제의 편이 되어주시는 신자들의 응원으로 이 책이 빛을 보게 되었음을 고백합니다. 또한 늘 기도해주시며 도움을 아끼지 않는 말씀방주 가족의 사랑을 기억합니다. 이제 이 책이 메마른 삶에 선물이 되기를 소원하며 교우님들의 마음 문을 두드립니다.

바쁜 중에도 삽화에 정성을 쏟아주신 최창임 프란치스카님과 글의 잡티를 지워주신 김양진 프란치스코님의 수고에 주님께서 푸지게 칭찬해주시길 청합니다.

더욱 정진하는 사제, 되겠습니다.

 

202112월 성탄을 기다리며

월등한 평화의 요람, 월평성당에서

복의 통로장재봉 신부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61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5 66
60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 왜 그렇게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0 66
59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58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 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 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 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 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8
57 6. 나쁜 꿈을 꾸면 종일 언짢아집니다. 꿈 해몽에 집착하는 버릇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6 70
56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4 71
55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0 71
54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53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7 72
52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9 75
51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50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75
49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5 75
48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5 75
47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9 76
46 3.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문제 2)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2 77
45 2. 김용옥 씨가 주장하는 '구약성경 폐기론' 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1 78
44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문제 4)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7 79
43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8 80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